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자녀들과 스킨십 어디까지 하고계신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의 자녀와 스킨쉽은 안아 주거나 뽀뽀 정도면 괜찮은 것 같아요 하지만 아이들이 불편해 한다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강제로 한다면 좋은 스킨쉽의 기억 마저 사라질 수도 있어요 아이들이 원하는 만큼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민간어린이집이요 상담받고 왔는데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집중력 자체가 높지는 않습니다 4세 전후 라면 집중 할 수 있는 시간이 5분~10분 정도 입니다 있는 그대로 보다 보니 그럴 수 있어요 하지만 아이도 처음 어린이집 가서 새로운 장난감이 많아서 이것 저것 관심을 보일 수 있어요 엄마가 잘못 한 것 없으니 작아지는 느낌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가정이나 민간 중 엄마와 잘 맞는 곳으로 보내세요
양육·훈육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자녀가 집안일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나이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 나이가 어린 자녀라면 자기가 가지고 놀이를 한 장난감을 치우는 것은 좋습니다 하지만 방 청소를 하게 하고 쓰레기를 비우게 하는 정도는 안됩니다 어느 정도 초등 학교 고학년은 되야 자기 방 청소 정도는 가능 합니다 공동 영역은 부모님이 하거나 아이와 함께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놀이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48개월 만4살 남자아이인데 심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만든 거 보다 엄마나 선생님이 만든 것이 더 보기 좋고 가지고 싶다는 생각에 그런 표현을 사용 한 것같아요 자기 꺼라고 이야기 하는 건 완성된 물품을 가지고 싶다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양육·훈육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물건을 사달라고 떼를 쓰는경우 어떻게 하는것이 현명한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수단 으로 떼를 많이 사용 합니다 대부분 부모님은 떼를 이기지 못해 아이가 원하는 걸 들어 주는 부모님이 많이 있어요 하지만 떼를 쓰는 습관을 고치지 못하면 소통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아이가 우선 울거나 소리를 지르고 시작 하기 때문이죠 아이가 떼를 쓰면서 울거나 소리를 지르면 울지 말고 말로 해야 엄마 아빠가 알아 들을 수 있으니 말로 하라고 단호 하게 이야기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울지 않고 말로 대화가 된다면 나머지는 쉽게 풀립니다
놀이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19개월 좋아하는 장난감 엄마한테 계속 가져다주는 아기 심리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좋아 하는 장남감을 엄마에게 가져다 준다는 것은 소중한 물건을 엄마와 나누고 싶은 마음 일수도 있고 나와 놀아 주세요 하는 표현 일수도 있어요 19개월이면 이제 친구가 필요 한 나이가 되었네요
놀이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보드게임이 아이들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기본적으로 보드게임은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면서 두뇌를 사용 해야 하는 게임들이 대부분 입니다 어떤 종류와 상관 없이 다 도움이 됩니다 아이들이 관심 있어 하고 호기심이 있는 제품으로 고르시면 됩니다
놀이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아이의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손가락을 사용해 표현 하게 되면 두뇌를 자극해서 창의력이나 상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칭찬과 관심을 통해 아이가 더욱 분발 할 수 있도록 해 주세요그림 그리기는 상상력이 무척이나 중요 합니다 아이가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여행이나 사물을 많이 보고 탐구 할수 있도록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아이가 부모의 말을 무시하거나 반항할 때 대처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이 일관적이지 못한 교육관은 아이들에게 신뢰를 줄 수 없고 아이들의 반항심을 불러 올 수 있어요 아이들이 듣기에 부모님의 말씀이 논리에 맞지 않다고 생각 되면 부모님의 말을 무시하는 경향을 가진 아이들도 있어요 아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잘 알아야 하고 아이와 대화 시 아이가 이해와 설득이 되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아이가 실패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돕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가정의 분위기가 강압적이거나 혼을 잘 내는 부모님의 경우 아이들은 부모님이 실망 할까봐 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아이에게 부담감을 덜어 주고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실패해도 괜찮다고 아이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세요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