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구강 Hpv가 음식이나 음료를 같이 먹어도 전염이 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가능하지만 빨대 정도를 나눠서 사용하는 것으로 감염이 쉽게 되지는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HPV 감염은 주로 혈액이나 성적 접촉을 수차례 할 때 나타나기 때문에 잠깐의 접촉으로는 체내 면역력으로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정수리 부분에 원형 탈모가 생겼네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수리 탈모의 경우, 남성형 탈모가 진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피부과 등 진료를 통해 탈모 방지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미녹시딜과 같은 탈모 방지 샴푸와 두부, 살코기 등 단백질을 보충하는 것이 머리카락이 자라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허리디스크 수술 후 운전언제쯤 할수있나요 ?
안녕하세요. 허리 수술 후 퇴원이 가능하다면 운전을 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장거리 운전의 경우, 일 개월 정도 주의가 필요하지만 일상 생활 정도의 거리를 운전하는 것은 수술 후 10일 차 부터는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중3 여자아이 심한 변비 때문에 관장을 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네 관장은 반드시 중요할 때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변비가 지속되고 변이 딱딱하게 굳어져 있는 경우, 변비약을 복용해도 잘 나오지 않아 이 경우, 관장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무엇보다 물을 자주 마시고 조깅이나 걷기 역시 중력을 이용하여 변을 내보내기 좋은 운동일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목감기 항생제 복용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감기의 원인이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지 세균에 의한 것 인지에 따라 항생제 처방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대개 편도염의 경우, 연쇄상 구균에 의한 감염을 의심할 수 있어 항생제를 추가 처방하는 경우가 많으며 부비동염의 경우에도 세균 감염을 의심하여 노란 콧물이 지속 될 때 항생제를 추가 처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입안에 염증이 너무 자주 나는데 걱정이 돼요
안녕하세요. 구내염이 반복되는 것으로 보이는 데 구내염 역시 세균성 감염이기 때문에 항생제를 같이 복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혈액 검사 등을 통해 기저 질환 여부를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치매는 유전인가요? 후천적인가요?
안녕하세요. 조기 치매의 경우, 유전 경향이 강하지만 65세 이후의 치매의 경우에는 환경적인 요인이 더 강합니다. 음주, 고지방 식이, 운동 부족과 함께 글을 읽거나 대화를 많이 하지 않는 경우, 치매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우유로 배탈이 나는 이유에 대해
안녕하세요. 이유당 불내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락토오즈를 분해하는 데 제한이 있기 때문에 어느 날은 증상이 있고 어느 날은 증상이 덜하게 느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궤양성 대장염으로 인해 증상을 더 느끼는 것으로 보이며 무 설탕은 큰 의미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초코바나 단팥빵 등 단 음식과 물을 같이 드시는 것도 좋은 대안일 수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뇌종양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뇌 종양의 종류가 중요하며 암이 아닌 양성 종양의 경우, 이미 제거를 하였다면 전이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양성 종양은 암이 아니기 때문에 제거 후 전이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같은 종류의 종양이 재발을 할 수는 있어 추후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3년 8월 16일 작성 됨
Q.
이게 도대체 무슨 병인가요? 진짜 오래된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불안 증상이나 우울증의 증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유 없이 피곤함을 느끼고 의욕이 없으며 불안으로 인한 긴장 상태로 인해 소변이 자주 마렵고 긴장 상태로 인해 이후에 쉽게 피곤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아 보는 것도 좋은 방법 일 수 있습니다.
306
307
308
309
3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