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피부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피지낭종에 염증났을 때 빨리 가야되나요?
안녕하세요. 피지 낭종은 응급은 아닙니다. 이미 피지샘 안으로 고름 주머니가 잡혀 있기 때문에 항생제 치료를 먼저 권고하지만 그럼에도 호전을 보이지 않는 경우, 낭종 제거 수술을 하게 되며 낭종은 주로 안쪽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평평한 상태에서 관찰되기도 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신경치료중인데~염증도없고 치아도 안깨졌다는데 아픈이유는?
안녕하세요. 신경 치료에도 호전을 보이지 않고 충치 증상이 지속된다면 차라리 발치 후 임플란트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MRI 를 찍을 수 있지만 치료에 도움이 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모기 물린곳이 며칠째 가려워요
안녕하세요. 이는 모기는 피를 빨 때 피가 굳지 않도록 독성 물질 '포름산(formic acid)'을 주입하게 되는데 모기에 물린 후 가려움을 느끼게 되는 이유 중 하나가 이 포름산 때문에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항히스타민제를 드시는 것이며 냉찜질을 하는 것으로도 히스타민에 의한 알렐르기 반응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내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실제 혈관 색깔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혈관은 붉은 색을 조금 띠는 선홍의 모습을 보이며 정맥은 진 보라색 혹은 검붉은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수술 장에서 안쪽을 들어갔을 때에는 동맥이나 혈관 모두 일반 살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아 쉽게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피하에 있을 때나 장기 내에 있을 때 혈관의 색이 다를 수 있습니다.
산부인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임신 중 심장이 빨리 뛰고 어지러움증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임신 중독증을 걱정할 수 있지만 혈압이 정상이고 다른 문제가 없는 경우, 이는 임신으로 인한 자궁 이완으로 인해 복부 동맥이 밀리는 경우, 기립성 저혈압을 정상적으로 보일 수 있어 심각한 증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손가락에 가시가 들어간 거 같은데 보이지가 않네요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가시는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밀려 나오게 됩니다. 근육 깊이 박힌 경우, 억지로 주변을 절개 하여 뽑기도 하지만 피부에만 박힌 경우에는 억지로 뽑을 이유가 있지는 않습니다.
정형외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골스캔은 뼈에 염증이있는걸 보는건가요? 힘줄근육연골같은데 잇는 염증은 해당이안되나요?
안녕하세요.네 아무래도 뼈스캔은 현실적으로도 뼈만 나오기 때문에 인대나 근육을 같이 촬영할 수는 없으며 나온다고 해도 비 특이적입니다. 근육 혹은 인대 염증을 반드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MRI 검사를 추가로 할 수 있지만 비용 부담이 있으며 꼭 해야 하는 것은아닙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문의드려요 정기적 검진? (호흡기내과,흉부외과,응급의학과)
안녕하세요. 저선량 CT 의 경우, 6개월에 한번 촬영도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그렇게 자주 검사를 권고하지는 않습니다. 일 년에 한번이 CT에도 적합하며 조영제를 사용하는 CT의 경우, 일 년 간격으로 촬영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부위 화상 3도 ~4도 관리방법요.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땀샘이 없어진 것이 가장 문제가 될 수 있어서 더운 혹은 땀이 많이 날 수 있는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통해 실내 온도를 25도 정도에 유지하는 것도 좋으며 수분을 자주 섭취하는 것이 체온이 급격하게 오르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내과
2023년 8월 14일 작성 됨
Q.
담낭제거술 이후 설사 증상이 심해집니다.
안녕하세요. 네 유산균을 드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담낭을 제거하게 되면 담즙이 정체될 곳이 없어지면서 지속적으로 나오게 되어 설사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때에는 수분이 많은 음식을 줄이고 필요하면 장 운동 억제제를 복용하기도 합니다.
311
312
313
314
3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