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천재들은 일반사람들과 두뇌구조가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천재들의 뇌는 일반인과 크게 다를바가 없긴하지만,신경세포간의 밀도차이가 그 사이 연결세포들의양의 차이가 약간 있다고는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기러기 떼가 하늘로 날아가는 게 보입니다. 세어보니 50에서 60마리는 될것 같은데, 일렬로 줄을 맞춰 날아갑니다. 어쩜 이렇게 횡렬로 즐을 맞추어 날아갈 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기러기들은 다같이 멀리 날아가 개체수를 늘리고좋은환경에서 자라기위한 노력을합니다.맨앞에 선두에 서는 새는주로 체력이 많이 남아있고 튼튼한 개체가맡아서하는데, 시간이지나면 서로 교대를해가면서멀리 날아갑니다.이렇게 날아갈때는 소리를내거나 몸짓으로 신호를 보내며줄을 맞춰서 날아갑니다.이런식으로 날아가면 맨앞의 새가 공기저항을어느정도 받아주기때문에 효율적인 비행이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연어는 바다물과 민물 두곳에서 생존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연어는 민물과 바닷물을 오가는시기에삼투압을 적응하기위한 며칠의 기간을갖기때문에양쪽을 오갈수있는 특성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바다어류들이 왜 살들이 짜지않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바다에사는 물고기들은 염분에의해 몸이 불어나거나 쭈그러들지않습니다.그 이유는 삼투압조절을하는 기능을 갖고있기 떄문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짠음식을 먹으면 입이 마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짠음식을 먹으면 몸속의 나트륨농도가 올라가 이를내보내려는 메커니즘이 발생합니다.수분이 함께 빠져나가야하기때문에 체내 수분량이 줄어들어갈증을느끼게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달팽이는 왜 자웅동체가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달팽이가 자웅동체가 된 이유는 첫번째로 번식상대를 찾기쉽게하기때문입니다.이동속도가느리고 사는환경이 넓게 분배되어있어교배상대를 찾기 어려운특성이있습니다.두번째로 두 개체가 만나기만하면교배가가능해서교배성공률이 매우높아집니다.특히 둘이만나서 둘 모두 임신해서 개체를 낳을수있는특성은 달팽이가 오랜시간 지구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원리라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사람은 왜 야행성이 아닌 아침형인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람은 어두워지면 멜라토닌이라는 성분이나와졸음을 일으키고 낮이되면 이 수치가줄어잠이깨워집니다.주로 밝은빛에대한 시각적인 부분이 잘 발달해있기때문에두 눈을통한 사냥이나 채집을하기위해 낮에 활동하게 됩니다.반대로 밤의 시각적인부분은 발달되어있지않은데,특히 야행성동물이 갖고있는 눈안의 반사판이 없기때문에밤에활동하기가 너무나도 제한적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조류나 파충류도 맛을 느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조류는 사람보다 약 10분의1에서 20분의1정도의 미각수용체가 있어약간의 맛만느끼고 쓴맛이나 단맛정도는 구분한다고합니다.파충류는 미뢰수가 더적긴하지만단맛이나 쓴맛 짠맛을 인식은 가능하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토끼는 성대가 퇴화 됐다고 하는데요, 성대가 퇴화된 동물에는 또 어떤 동물들이 있나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토끼외에도 기니피그나 암사슴, 낙타, 고래일부, 오리너구리등이 성대기 일부 퇴화거나 완전히 퇴화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30일 작성 됨
Q.
왜 고양이는 캣닢 냄새에 반응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캣잎안에는 네페탈락톤이라고하는 고양이 후각세포에 결합하는화학물질이 들어있는데, 고양이 뇌 감정과관련된 부분인림빅계와 시상하부에 작용한다고합니다.이 반응에의해 머리를 문지르거나 비비고미친듯이 뛰어다니거나 깨무는행동을하기도합니다.일종의 놀이와 같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