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체온이 40도가 넘어 점점 올라가게되면 단백질 변성이 일어난다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단백질들은 3차원구조를 갖고있고 온도에따라서 이 구조가 변할수있습니다.아주 쉽게 예를들면 고기에 열을가하면 익으면서형태와 맛이 매우다르게 변하는것과 같습니다.먼저 단백질은 3차원 접힘구조를갖고 여러종류의 결합력들이 작용하고 있습니다.열이가해지면 이런 결합들이 풀리거나 새로운 결합이 만들어지면서모양이 다르게 접히거나 풀려버리는 현상이 일어납니다.그래서 체온이 40도가 넘어가면효소활성도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대사속도가 매우 감소하고신체 여러부분에서 세포들이 죽기시작합니다.그리고 단백질들끼리 서로 응집하면서혈관을 막거나 신경계를 방해합니다.이러한 반응들은 비가역적인 손상이기때문에온도를 다시낮춘다고해도 사라지지 않는 현상들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학적 불멸은 실현 가능한 목표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선 생물학적 불멸이 실현가능하느냐에 대한부분을기술적인부분과 윤리적인부분으로 나눠서 설명하겠습니다.기술적인 부분으로는 먼저 노화에 대한 기전을모두밝히고 해결해야합니다.텔로미어의 단축이나, DNA의손상, 단백질과 대사산물의 축적,줄기세포의 고갈같은 문제들을 해결해야합니다.아직까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기술을 적용하면 암의 위험이 증가한다거나사고나 전염병, 환경재난같은것들에 의한위기는 막을수가 없습니다.윤리적인 관점에서는사회적인 불평등을 만들거나 자원이 고갈된다는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특히 가진사람들이 더 많은 기술들을 차지해서불멸의조건을 만들어나가기 더 쉬워질것이기때문에사회적으로도 용인되지않을수있습니다.정리하면 현실성이 많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무 생물의 변에 관계없이 식물의 비료로서 활용이 가능한가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모든배설물이 비료로 사용될수는 없습니다.땅에 좋은 배설물에대한 조건을 만족해야합니다.첫번쨰로 질소나 인, 칼륨등 식물에게는필수인영양소들이 적절히 포함되어있어야합니다.또한 유기물들도 들어있어야하고병원성미생물이 적어야합니다.살모넬라나 대장균같은 병원균들이 들어있으면 안됩니다.두번째는 독성물질인 중금속이나 항생제같은 약물, 기생충들이 없어야합니다.그래서 주로 소, 말, 돼지, 닭등의 가축배설물,토끼, 물고기, 박쥐배설물등을 활용합니다.사람의 배설물이나 개나 고양이같은 육식동물의 배설물,야생동물의 배설물등은 활용되기 어렵습니다.비료로 활용되기위한 조건은50~70도 온도로 처리해서 병원균과 기생충,다른씨앗을들 제거해주는 퇴비화과정을 거쳐야합니다.또한 pH와 염분 농도를 처리해주어야합니다.이에대한 국가적 규제가 있으니 나라에 맞게 잘 활용해야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레도 육식과 채식 벌레로 나누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벌레중에도 육식성, 초식석, 잡식성으로 나눌수있다고합니다.먼저 육식성 곤충으로는 사마귀, 잠자리유충, 딱정벌레등인데,살아있는 먹이를 직접 사냥해서 잡거나 죽은 고기나 곤충사체를 먹는다고합니다.생태계에서는 천적의 역할을하고 곤충개체수 조절을 돕고있습니다.두번째는 초식성벌레인데, 주로 잎이나 줄기, 꽃 과일, 나무껍질등을먹는다고합니다. 메뚜기나, 나비와 나방의 애벌레, 진딧물 등이 이에 포함되고먹이사슬의 맨 바닥을 차지해서 생산자역할을합니다.세번째는 잡식성인데, 바퀴나 개미, 파리 등이 포함되고생태계에서 분해자, 중간소비자 역할을 한다고합니다.각각 식성에따라 먹이사슬의 위치가 달라지기때문에어느하나 중요하지않은 곤충들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어린치어를 방류해서 어족자원이 풍부해지는 효과는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어린치어를 방류해주는 사업은 어족자원 보존을 위해중요한 사업이라고 합니다.먼저 치어를 방류하면 어족자원이 회복되고경제적으로 어획량이 증가하여 이득을 취할수있습니다.또한 생태계도 복원되어 다양한 먹이사슬을회복시키는데 도움이됩니다.우선 10만마리의 치어를 방류하면 약 5%~20% 정도가 성체가 되는데,많이 방류할수록 많은 수가 되돌아옵니다.일본의경우 매년 20억마리씩 연어를 방류해서60~100만마리가 되돌아와 잡힌다고합니다.물론 자연에서 도태되어 많은수가 잡히지만,이 잡히는 효과역시 다른 동물들에게도먹이사슬상 좋은영향을 미치기때문에그렇게 나쁜사업도 아니라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도 서로 소통한다는 주장은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물도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소통합니다.첫번째는 화학신호입니다.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활용하는데,병충해나 물리적 손상을 입으면 공기중으로이러한 화합물을 뿌려댑니다.그래서 다른식물들은 이 신호를읽어미리 방어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킵니다.두번째는 뿌리를통한 소통인데,균근이라고해서 곰팡이와 공생관계를 이용합니다.뿌리와뿌리사이 곰팡이들이경고신호를 전달해줍니다.세번째는 식물내부에서전기신호로 신호가 전달되는데,예를들어 미모사같은경우외부 물리적접촉이 닿으면식물내부에서 의사소통을위해 전기신호가 발생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앉으면 다리를 꼬는 것은 왜 그런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다리를꼬는 이유는 다양하다고합니다.첫번째로 체중분산효과가 있습니다.다리를 꼬면 엉덩이한쪽으로 체중이 집중되는데,의자에 장시간 앉아있을때 체중을 좌우로 왔다갔다하며피로감을 줄여줍니다.두번째로 다리를꼬면 몸이 흔들리지 않게잡아주는 역할을한다고합니다.특히 등받이가 없는경우에 이러한 자세를 더 많이 취한다고합니다.세번째는 이미 틀어져버린 근육과 골반구조에서다리를꼬는행위가 더 편하게느껴지기 때문입니다.이런식으로 장기간 다리를꼬게되면습관화가되고 심리적인 편안함을 만들어준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겨울철 난방비 절약을 하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릴확률이 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겨울철에 난방비를 아끼면 심혈관계 질환에 걸릴 가능성을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몇개 있습니다.첫번째로 혈관이 수축하고, 혈액의 점도가 증가하며심박수가 증가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고혈압이나 동맥경화,당뇨병등의질환 가능성을 높인다고 합니다.WHO에서는 그래서 실내온도를 18도이상정도로 유지할것을권장하고있기도하고어린이나 노약자들은 20도 이상으로 권고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이 되면 배우는 과목?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화학의경우 분자나 원자같은 작은세계에서,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에서의 서로의상호작용에대한 원리를 이해하는 학문입니다.생물학은 이보다 더 큰범주에서 공부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뱀의 종류가 다양한데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성격이 온순한 뱀들도 존재하고,공격을해도 사람에게 치명적이지 않은뱀들도 존재합니다.주로 작고 머리가 동그란 뱀들이 이러한 특성을 보입니다.감사합니다.
1211221231241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