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도 서로 소통한다는 주장은 사실인가요?
식물을 키울 때 식물에게 긍정적인 말을 하거나 클레식 음악을 들려주면 더 잘 자란다는 말이 있듯이 식물도 서로 소통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식물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 방법과 그 과학적 근거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식물이 서로 소통한다는 주장은 어느 정도 사실이며, 과학적 근거가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식물은 화학적 신호(휘발성 유기 화합물, 피톤치드 등)를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고, 병충해 공격이나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정보를 이웃 식물에 전달하여 방어 체계를 강화합니다. 또한, 뿌리의 균근 네트워크를 통해 영양분과 정보를 교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긍정적 말"이나 "클래식 음악"이 식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증명되지 않았으며, 그 효과가 있다 하더라도 화학적, 물리적 환경 변화 등의 간접적인 영향일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식물의 소통은 주로 화학적, 생리적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일부 주장들은 과학적 증거가 부족하거나 과장된 측면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식물도 서로 뿌리나 줄기, 잎을통해
화학물질을 분비하면서 소통합니다.
이 화학물질을 받아들여서
위협에대해 공유하고 다른식물들은
대비할수있도록 서로 네트워크 공유가 되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식물도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소통합니다.
첫번째는 화학신호입니다.
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활용하는데,
병충해나 물리적 손상을 입으면 공기중으로
이러한 화합물을 뿌려댑니다.
그래서 다른식물들은 이 신호를읽어
미리 방어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킵니다.
두번째는 뿌리를통한 소통인데,
균근이라고해서 곰팡이와 공생관계를 이용합니다.
뿌리와뿌리사이 곰팡이들이
경고신호를 전달해줍니다.
세번째는 식물내부에서
전기신호로 신호가 전달되는데,
예를들어 미모사같은경우
외부 물리적접촉이 닿으면
식물내부에서 의사소통을위해 전기신호가 발생됩니다.
감사합니다.
네, 식물도 화학물질이나 전기신호, 뿌리, 유전자 등을 통해 소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물은 다양한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다른 식물과 소통합니다. 예를 들어, 곤충에게는 잎이 맛이 없다는 신호를 보내기도 하고, 다른 식물에게 병원균이 있다는 경고를 하는 경우가 있죠.
또 식물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신호는 식물의 다양한 생리 작용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그리고 식물의 뿌리는 서로 연결되어 영양분과 정보를 교환합니다. 특히 균근이라는 균류와 공생하여 더 넓은 범위에 걸쳐 정보를 교환하기도 합니다.
또 최근 연구에서는 식물이 유전자를 직접 주고받으며 정보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는데, 이는 식물이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부분이죠.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도 소통을 합니다. 다만, 다른 생물들 처럼 소리로 하는 게 아니라 화합물(냄새) 등 전혀 다른 방식을 통해 소통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네, 식물도 서로 소통합니다.
식물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뿌리를 통한 화학 물질, 그리고 균근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주고받으며, 이는 과학적으로 밝혀진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가장 잘 알려진 식물 간의 소통 방식은 화학적 신호를 통한 것입니다.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해충의 공격을 받을 때, 특정 화학 물질을 방출하여 주변의 다른 식물에 경고할 수 있습니다. 또, 식물의 뿌리 시스템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거나, 균근 곰팡이(균사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하 네트워크를 통해 식물은 물질을 교환하고,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우드 와이드 웹'이라고도 불리며, 식물이 자원을 공유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서로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식물이 전기적 신호나 기계적 신호를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증거도 제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식물의 한 부분이 손상을 입었을 때 그 신호가 전체 식물에 전파되어 다른 부분이 방어적인 반응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