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1월 20일 작성 됨
Q.
오리너구리가 포유류지만 알을 낳을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오리너구리는 포유류와 그 이전단계 그사이의 생물인 단공류에 속합니다.그래서 원시적인방법인 알을 낳는 방법을유지한채 포유류가된 경우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0일 작성 됨
Q.
유전자 검사에서 100% 확률이라고 하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유전자에는 수많은 분자들이 존재하기때문에 분자단위까지 완벽히일치하기까지는 불가능에가깝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20일 작성 됨
Q.
정자와 난자가 만날때 돌연변이가 생긴다는데 이게 꼭 나쁜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정자와난자가 만날때에는 유전정보가 서로합쳐지며 돌연변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자연환경에서 버틸 수 있는특성을 부여하기도 하기때문에 진화론적 관점에서는 나쁜것만은 아닙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우리의 뇌는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리의 뇌는 각 영역이 존재하고 영역마다움직임이나 생각, 기억, 감각정보처리, 판단 등등처리하는 역할이 다릅니다.주로 대뇌피질이 인간만이 할 수있는행동이나 생각을 담당하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사람 뇌가 100프로 활성화되기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뇌의 일부분만 사용한다는 이론은 구체적인 증거가 부족합니다.왜냐하면 뇌의 일부분만 소실되어도 전체신체기능이100% 발휘되지 못하기때문입니다.즉, 평소에도 100%의 뇌를 사용하고있다는 증거가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인류 뇌가 어느시기부터 조금작아지게 되고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직접사냥을하거나 채집활동을해야하기에빠른판단력과 기억력이 필수적이었지만현대사회로 오면서 기록기술과 사회적인 집단지성, 집단기억등이발달하면서 굳이 불필요한 뇌크기를 유지할만한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은행나무도 암나무와 숫나무가 있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은행나무도 암나무와 수나무로 나뉘어져있고,암나무에서만 은행이 열립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목욕탕에 오래있으면 손가락에 주름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먼저 피부층은 단백질과 지질로이루어져있어 물을 약간 흡수할수있는데,물을 흡수하면서 부풀어오르고 표면적을 늘리며주름을 만들어낸다고합니다.또한 가장 최신연구에 따르면 단순히 물을 흡수해서 쭈글쭈글해지는것 뿐만아니라자율신경계가 관여한다고 합니다.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며 혈관이 수축하고, 표피가 접힌다는 연구내용인데,장갑을끼고 물속에 오래담구어두어도 쭈글쭈글해지는 현상이 생긴다는게 그 증거였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캥거루는 태어날때 암컷의주머니에서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캥거루의 새끼는 주머니안쪽이 아닌암컷의 생식기를통해 나옵니다.이후 새끼들이 스스로주머니안으로 들어가 그안에서젖을먹으며 포육되며 크게 자랄떄까지주머니안과밖을 드나들며 키워집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1월 19일 작성 됨
Q.
독개구리도 있다고 하는데 얼마나 강하독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독개구리의 바트라코톡신이라는 독소는 신경세포의 나트륨이온채널에 영향을미쳐근육과 신경신호를 과도하게 활성화시키고, 근육마비나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특히 황금독화살개구리와같은 맹독을가진 개구리는 한마리가최대 성인10명을 죽일 수 있는 위협적인 독을 가지고있기도합니다.생김새는 보통 화려한색상을 갖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