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세포는 어떻게 에너지를 얻고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세포는 당이나 아미노산, 지질과같은 영양소들을세포내로 들어오는것을 허용합니다.이러한 영양소들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대사과정을 거치고 ATP라는 에너지원으로 바뀌게 되는데이 ATP가 분해되며 에너지를 방출하고에너지를 필요로하는 부위에서는 이 ㅇATP를 끌어들여방출되는 에너지를 활용합니다.이런식으로 세포들이 에너지를 얻고 움직일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인간의 뇌는 평생 10%도 못쓴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이 이야기는 실제로 경험에의해서뇌가갑자기 트이고 두뇌회전이 빨라지는듯한 느낌에의해만들어진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사실은 정반대로 뇌는 모든부위를 활용하고있고이에대한 증거로 뇌의 일부분만 소실되어도신체기능의 일부가 제한된다는것입니다.이미 사람들은 뇌의 모든부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다른 식물이나 동물을 모방한 하는 식물이 있는데요. 시각이 없는 식물이 어떻게 해 다른 생물의 모습을 따라 할 수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시각적인 감각이 없더라도우연히 만들어진 식물의 유전적인 패턴과 색깔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를들어 우연히 뱀이나 개구리와같은 형태의 색과 모양일 만들어냈다면이 식물근처에는 이들에게 포식당하는 생물들이 기피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기피하던 곤충들이 식물을 괴롭히던 생물이었다면이러한 스트레스 원이 사라지므로우연히도 저런 무늬와 형태를 만들어낸 식물은더 많이 번성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여기서 우연이라는것은 유전적인 돌연변이로 볼수있고,더 많은 번석은 자연선택으로 볼수있습니다.즉, 오랜세월 진화의과정에서 만들어진 특성일뿐시각적으로 인지하고 의도해서 만들어낸 장치는 아니라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복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세포분열과정에서DNA복제는 크게 4단계로나누어져서 진행됩니다.먼저 DNA의 이중나선이 풀려서 두가닥으로 분리됩니다.그리고 DNA 중합효소가 복제를하기시작하는데,프라이머라는 작은 RNA가닥이 필요해서 이를 먼저 합성해냅니다.이후 DNA 합성이 이루어지고 상보적인 염기가해당서열에맞게 맞춰지면서 새로운 가닥이 만들어집니다.이렇게 복제가 완료되면 방추사가 나와서이 두가닥을 각각찢어서 가져갑니다.이러한 방식으로 유전자가 복제되고세포가분열될때 한가닥씩 가져가게됩니다.분열이 완료된 세포내에서는다시 두가닥으로 붙으며 유전자의 형태로 복원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남극 빙하 밑은 엄청 추운데도 생명체는 어떻게 사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남극의 빙하밑에는 위에서 누르는 얼음의 압력과밑에서 올라오는 지열이 갇혀서주변 영하의 온도보다는 따뜻한영상의 온도즉,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할수있는 공간이 있습니다.이곳에서는 생명체가 살아가는것은가능한 온도이긴합니다.또한 이렇게 극지방에 사는 생물들은지방함량이 매우높아체내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하는신체구조를 가지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