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2월 23일 작성 됨
Q.
동물들은 어떤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감정이 풍부한 조류나 포유류들의경우꼬리나 귀와같은 눈에 잘 띄는 신체부위를 크게 움직이는 방시으로나몸전제적인 몸짓을통해 감정을 전달합니다.특히 반려동물로 키우는 개나 고양이들은 얼굴표정을통해서도사람과 감정소통이 가능한데, 개는 가축이 될수있었고늑대는 가축이 될수없었던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이외에 다른동물들은 공격성을 보이지 않는다거나몸을 비비는행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감정을 전달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23일 작성 됨
Q.
카페인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카페인은 중추신경계에서도 동일한 작용을 일으킵니다.주로 신체 완화와 수면을 유도하는 아데노신대신에카페인이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그 작용을 방해하는데,뇌에서도 해당 작용이 일어나 피로물질은 체내에 쌓여있지만아데노신이 작용하지 못해 각성상태를 유지하도록 만들어줍니다.또한 중추신경내에서 도파민의 분비도 촉진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23일 작성 됨
Q.
기생 생물은 숙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왜 이런 관계가 진화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기생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숙주와 가까이 지내며 숙주가 생산하거나 획득한에너지원을 빼앗아가고 자신은 그 숙주에게 아무런 이점을 주지않는 것을 말합니다.스스로 양분을 생산하거나 다른 동물들을 포식하는작용이 어려운신체적인 구조나 환경적인 제한이 있는경우 기생이라는방법을 택해서숙주로부터 간편하게 에너지를 얻습니다.또한 숙주내부에서 안전하게 에너지를 공급받으면서도숙주가 대신 그 개체를 보호해주는것을 노리는 전략도 있습니다.즉, 혼자서는 자연환경에서 살아갈 수 없는 한계가있어 이와같은 방식을 사용하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23일 작성 됨
Q.
비늘이 없는 물고기가 왜 생겨난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비늘은 물속에서 기생이나 바이러스와같은 외부 침입자들을 막아주고단단하거나 강한 물체로부터 연질의 조직이 상하는것을 막아주는 역할을합니다.만약 피부가 충분히 강력하여 이와같은 부분들을 막아낼 수 있다면비늘을 만들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아낄 수 있기때문에이러한것이 가능한 물고기들이 만들어졌을것이라고 추정되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22일 작성 됨
Q.
인녕하세요. 정말로 똑같은 사람을 그대로 복사할 수 있는 기술력이 존재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동물에대한 복제기술은 거의 완성된수준이라고하고,인간복제도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하다고합니다.물론 윤리적인 문제나 사회적인 거부감때문에 법적으로 금지하고있는나라들이 대부분입니다.감사합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