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3세 여아의 그림 그리기, 미술 놀이 확장법은?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3세 여자아이가 낙서와 그림 그리기를 즐긴다면 다양한 미술 재료와 도구를 경험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색연필, 크레파스, 물감, 스탬프, 스펀지, 자연물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자유롭게 사용하게 하면 아이는 다양한 질감과 색감을 탐색하며 창의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그림 그리기 외에도 손바닥 찍기, 종이 오리기, 콜라주, 스티커 붙이기 등 미술 놀이의 형태를 다양하게 확장해주면 아이가 자기만의 표현 방식을 찾아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아이의 그림이나 작품에 대해 “이건 뭐야?”라고 묻기보다는 “여기 색이 정말 예쁘구나”, “이렇게 크게 그렸네”처럼 구체적인 관찰과 칭찬을 해주면 아이는 자신의 표현이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받으며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미술 놀이를 놀이처럼 즐기되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겨 아이가 자유롭게 상상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Q. 3세 여아의 “엄마 아빠 따라히기” 행동,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3세 여아가 엄마 아빠의 말과 행동을 따라하는 시기를 긍정적으로 활용하려면 부모가 일상에서 바른 생활 습관과 예절, 올바른 언어를 먼저 실천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예를 들어 부모가 손 씻기, 인사하기, 정리정돈을 자연스럽게 실천하면서 “엄마처럼 손을 씻어볼까?”라고 함께 해보자고 제안하면 아이는 놀이처럼 따라 하며 습관을 익힐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바른 행동을 했을 때는 “혼자 인사했구나, 정말 멋지다”처럼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면 긍정적인 행동이 자연스럽게 강화됩니다.
Q. 메타버스가 교육으로 도입된다면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메타버스가 교육에 도입될 경우 초등학생들에게 여러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주의해야 할 점도 존재합니다. 우선, 메타버스 환경에서는 아이들이 가상 공간에서 직접 체험하며 배우기 때문에 몰입도가 높아지고 흥미를 느끼며 학습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제로는 방문하기 어려운 역사적 장소나 과학 실험실을 가상으로 경험하면서 학습 내용을 더 생생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아바타를 통해 친구들과 협력하거나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 등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자연스럽게 키울 수 있습니다.하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가상현실과 실제 현실을 혼동할 수 있는 연령대이기 때문에 현실과 가상을 구분하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아이들은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경험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VR 기기 사용 시에는 시력 저하, 어지럼증, 두통 등 신체적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연령에 맞는 적절한 사용 시간과 휴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아이의 발달 단계와 특성을 고려해 충분한 지도와 관리 아래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