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슬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슬이 전문가입니다.
이슬이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소주에는 불이 잘안붙고 양주에는 불이 왜 잘붙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의 퍼센트가 소주에 비해 양주가 높기 때문입니다.보통 40도 이상의 양주와 같은 술에서 불이 잘 붙는다고 해요.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날씨가 갑자기 이렇게 추워질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최근 비슷한 질문에 대한 답을 한 적이 있는데요.https://www.a-ha.io/questions/4fa2824b956ff9d3882abb22f061246b/answers/4fb1f102f8f0fc54bc6ab48a19ff9176?recBy=XLIR79질문자님의 질문에 대한 일부 답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흔히먹는 식용유는 몇 도에서 얼려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 참기름은 –6~-3도들기름은 –6도~5도 올리브오일의 어는점은 약 6도 정도라고 합니다.식용유의 성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하네요. 실온보다는 낮은 온도일 것이라 생각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수박에 소금을 뿌리면 더 달아지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소금의 맛은 기본적으로 짠맛이지만, 소금 내의 미네랄 덕에 단맛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식품에 설탕과 함께 미량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소금의 짠맛이 단맛을 더 부각 시키기 때문이라고 하네요.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물과 얼음의 부피 차이는 왜 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일반적인 물질들과 달리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지고 밀도가 작아집니다.물 분자들끼리는 수소 결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온도가 낮아지면 물의 분자 운동이 약해지고 육각 고리 모양의 결정을 이루면서 빈 공간이 생깁니다. 그렇게 되면 빈 공간 때문에 얼음의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공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시약병은 왜 다다른가요? 모양 색깔등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시약들의 반응성 등의 성질에 따라 다릅니다.갈색병은 직사광선에 약한 물질들일 경우가 많아요.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비가 오면 미세먼지가 없어지나요 아님 그상태로 유지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온다고 해서 미세먼지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미세먼지는 바람과 비의 양에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미세먼지가 우리나라에 있을 때 바람이 많이 불지 않고 대가가 안정적이면 그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높아집니다. 미세먼지를 조금이라도 제거하기 위해서는 최소 20mm이상의 강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사라지려면 비가 넓은 범위에서 내리고, 대기 중 바람이 많이 부는 상태가 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자웅동체인 생물들은 어떻게 해서 수정을 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달팽이는 자웅동체이긴 하지만 짝짓기를 통해 알을 낳아 번식합니다.대부분 성별이 없다고 봅니다. 성장 6개월 정도 지나면 더듬이 옆에 촉수 혹은 교미공이 생깁니다. 달팽이는 이 교미공으로 짝짓기를 해서 정자를 교환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해바라기가 해를 바라보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해바라기가 해를 쫒아다니는 것은 빛을 통한 광합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생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해바라기 외의 다른 꽃들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모기를 멸종 시키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도 모기가 있어서 저도 꽤 고생을 하는 중인데요..생태계의 일부가 변화가 오면 당연히 그 체계 일부가 무너지기도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모기는 꽃가루 수분역할도 하기 때문에 모기가 멸종되면 수천, 수만 종의 식물 역시 멸종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