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조선시대에는 눈이 안좋은 경우 안경도 없었을텐데 어떻게 대처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도 안경은 존재하였습니다.https://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815093.html다만 이는 16세기 말 우리나라에 들어온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는 눈이 좋지 않다면 눈이 좋지 않은채로 평생을 살아갔을 것입니다.
Q.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역사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야 역사라고 부를 수 있을지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없겠지만 일단 그 사실이 시작되고 10~20년정도의 시간이 흘러야 어느정도 '역사'로서의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Q.  몇년전에 유행한 미스터션샤인의 남주가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했다고 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유진 초이’의 실제모델은 황기환 지사입니다.최근 황기환 지사의 유해가 고국으로 돌아오면서 이슈가 되기도 하였습니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1077253.html
Q.  압존법이라는 것이 실제로 규정화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압존법(壓尊法)은 대화의 대상이 되는 사람에 대한 존대 여부를 말하는 사람(화자)이 아닌 듣는 사람(청자)을 기준으로 하는 어법을 말하는데, 우리나라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다음의 답변사항이 존재합니다.압존법은 규정이 아니므로 폐지된 바도 없습니다. 전통적으로 압존법은 가정 내, 사제 간에서 쓰였으며, 사회적 관계에서 압존법을 쓰는 것은 우리 전통 예절이 아닙니다.
Q.  무릉도원이라는 고사성어는 어디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무릉도원은 중국 도연명陶淵明(365~427)의 에 나오는 말로 무릉에 있는 복숭아의 근원이란 뜻을 가졌다고 합니다.기사에 따르면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진나라 태원太元 연간(376~396)에 무릉의 어느 고기잡이가 계곡 시냇물을 따라 올라가던 중 양쪽 언덕이 온통 복숭아나무숲으로 덮여 있는 곳에 다다랐다. 복숭아꽃이 만발해 있는 때라 고기잡이는 노를 저으며 정신없이 바라봤다. 복숭아나무숲은 가도 가도 끝이 없었다. 꽃잎은 푸른 잔디 위로 펄펄 날리고 있다. 계곡 발원지에 도착하자 숲도 함께 끝나고 산으로 가로막혀 있고, 산 밑으로 조그마한 바위굴이 하나 있다. 굴속에서 무언가 빛이 났다. 그 속으로 들어가자 별천지가 나왔다.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그 어부에게 밖에 나가서 절대 이곳 얘기를 하지 말라고 당부한다. 그곳을 나온 어부는 후일 다시 찾았으나 전혀 찾을 수 없었다고 전한다.
2262272282292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