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왜 한국은 유독 배달 문화가 발달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배달문화는 1930년대부터 각종 탕, 냉면, 국밥, 비빔밥 등 배달 문화는 점점 널리 퍼지게 되었는데, 시간이 지나고 배달부가 달려가 음식을 전하던 풍경은 자전거 배달로 또 오토바이 배달로 변화하였으며, 음식을 담는 배달통은 나무 가방에서 가벼운 철가방으로 진화하였다고 합니다.우리나라 특유의 편의추구, 빨리빨리 문화가 현재의 배달문화를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여러 가게와 경쟁을 하기 위해 배달음식 문화는 확산된 것입니다.또한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치안이 좋은 국가로서 술을 곁들인 야식문화가 발전한 사유도 있다고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Q.  조선 전기에 실시한 전분 6등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시대의 전분육등법은 조선시대 토지의 질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여 수세의 단위로 편성한 기준을 말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9454
Q.  ‘한번’ 이랑 ‘한 번’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하대학교 국어문화원의 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번’이 차례나 일의 횟수를 나타낼 때에는 ‘한 번’, ‘두 번’, ‘세 번’과 같이 띄어 씁니다. 그러나 ‘지난 어느 때나 기회’ 또는 ‘어떤 일을 시험 삼아 시도함’, ‘기회 있는 어떤 때나 일단 한 차례’ 등을 뜻할 때에는 ‘한번’으로 붙여 씁니다. 따라서 ‘한번 엎지른 물’은 ‘일단 한 차례 엎지른 물’이므로 ‘한번’으로 붙여 씁니다. 헷갈릴 때는 ‘한번’을 ‘두 번’, ‘세 번’으로 바꾸어 뜻이 통하면 ‘한 번’으로 띄어 쓰고, 그렇지 않으면 ‘한번’으로 붙여 쓰면 됩니다.
Q.  왕가의 이름은 어떤식으로 정해 졌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가의 이름이라고 표현해주셨으나 묘호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이해되며, 묘호는 국왕이 사후 정해지는 종묘에서 부르는 호칭을 말합니다. (세종, 정조 등)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23_0030_0050_0030
Q.  시계를 처음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시계가 고안된 것은 기원전 약 2천 년 전 고대 바빌로니아인데, '해시계'가 가장 먼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손목시계는 1810년에 최초로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아브라함 루이 브레게는 1810년 6월 8일 나폴리 여왕의 주문을 받아 그의 작업장에서 특별한 시계를 제작했다고 합니다.
4364374384394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