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 한국은 유독 배달 문화가 발달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배달문화는 1930년대부터 각종 탕, 냉면, 국밥, 비빔밥 등 배달 문화는 점점 널리 퍼지게 되었는데, 시간이 지나고 배달부가 달려가 음식을 전하던 풍경은 자전거 배달로 또 오토바이 배달로 변화하였으며, 음식을 담는 배달통은 나무 가방에서 가벼운 철가방으로 진화하였다고 합니다.우리나라 특유의 편의추구, 빨리빨리 문화가 현재의 배달문화를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여러 가게와 경쟁을 하기 위해 배달음식 문화는 확산된 것입니다.또한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치안이 좋은 국가로서 술을 곁들인 야식문화가 발전한 사유도 있다고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Q. ‘한번’ 이랑 ‘한 번’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하대학교 국어문화원의 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번’이 차례나 일의 횟수를 나타낼 때에는 ‘한 번’, ‘두 번’, ‘세 번’과 같이 띄어 씁니다. 그러나 ‘지난 어느 때나 기회’ 또는 ‘어떤 일을 시험 삼아 시도함’, ‘기회 있는 어떤 때나 일단 한 차례’ 등을 뜻할 때에는 ‘한번’으로 붙여 씁니다. 따라서 ‘한번 엎지른 물’은 ‘일단 한 차례 엎지른 물’이므로 ‘한번’으로 붙여 씁니다. 헷갈릴 때는 ‘한번’을 ‘두 번’, ‘세 번’으로 바꾸어 뜻이 통하면 ‘한 번’으로 띄어 쓰고, 그렇지 않으면 ‘한번’으로 붙여 쓰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