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에서 달의 한면만 보인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이때 달은 지구의 중력의 영향으로 1회 공전하는 동안 같은 방향으로 1회 자전하는 동주기 자전을 합니다. 동주기 자전을 이해하려면 친구와 마주 보며 돌아보면 됩니다. 만일 공전하는 동안 자전하지 않는다면 친구의 앞뒤는 물론 옆모습까지 모두 볼 수 있습니다. 달이 된 입장에서 본다면 친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자전하지 않는다면 공전하는 동안 내가 보는 풍경은 변하지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은 모양주기가 바뀌는게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달의 공전 주기에는 삭망월과 항성월이 있습니다.달의 모양은 29.5일을 주기로 바뀝니다. 이를 삭망월이라고 하며 음력 1달의 기준이 됩니다. 항성울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천구 상에서 같은 위치, 즉 항성을 기준으로 같은 자리에 오는 주기를 말하며 약 27.3일입니다.항성월과 삭망월이 약 2.2일 차이 나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달의 공전 주기는 항성월을 사용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가 엄청빨리 돌고있다고하는데 햇빛은 왜 천천히떳다가 천천히 지게되는거죠?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구의 적도 반지름이 약 6400km이므로 적도 둘레는 약 40000km가 됩니다. 지구는 24시간에 1바퀴 자전하므로 적도에서의 자전 속도는 시속 약 1670km, 초속으로는 약 465m가 되며, 이는 공기 중 소리의 속도의 약 1.4배가 됩니다. 지구의 자전 속도는 수치 상으로는 매우 빠른 속도이지만 속도의 변화를 느끼기 위해서는 가속도를 생각해야 합니다. 만일 지구가 평면이라면 모든 물체가 같은 방향, 같은 속도로 움직이므로 변화를 느낄 수 없습니다. 지구가 구체이므로 원운동함에 따른 각속도에 따른 가속도가 발생하는 것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구는 24시간에 1회 자전하므로 자전에 따른 각속도는 1시간에 15도입니다. 회전목마에 타고 있는 동안 1시간에 15도 회전한다면 변화를 느낄 수 있을까요? 쉽지 않을 겁니다. 이런 이유로 지구의 자전 속도가 매우 빠름에도 불구하고 잘 느끼지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천문학의 도플러 효과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도플러 효과는 파장을 일으키는 파원과 그 파장을 관측하는 관측자 사시이 거리가 변함에 따라 관측되는 파장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파원과 관측자가 둘 다 멈춰 있다면 파원으로부터 나오는 파동의 파장은 일정하고 곤측자에게 도달하는 파동의 파장도 일정합니다. 이 경우 소리나 빛의 파장은 변함이 없습니다. 파원과 관측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파원이 관측자 쪽으로 이동하거나 관측자가 파원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파장은 일정하지만 파원의 위치 또는 관측자의 위치가 달라집니다. 파원이 이동하는 경우는 파동을 발산한 후 그쪽으로 이동하면서 그 다음 파동을 발생하므로 파장 사이의 간격이 좁아집니다. 따라서 파도과 파동 사이의 거리인 파장이 짧아지는 것입니다. 관측자가 이동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파동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만 관측자가 파원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다음 파장이 원래의 간격보다 빠른 시간에 도달하는 셈이 됩니다. 즉, 원래 파장이 도달해야 할 시간보다 먼저 파동이 도달하니 파장이 짧아지는 셈이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파원과 관측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파동의 파장은 길어지게 됩니다.도플러 효과는 일상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앰뷸런스가 내 앞을 지나가는 경우 다가올 때는 사이렌 소리가 높아지지만 지나치고 난 후에는 점차 낮은 소리로 변합니다(소리의 크기가 아니라 높낮이 변화임을 파악해야 합니다.). 빛의 경우도 광원과 관측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원래보다 파장이 짧은 쪽으로(청색 편이), 멀어지면 긴 쪽으로 치우칩니다(적색 편이).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맨틀대류설은 누가 주장한 가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맨틀이 열대류를 한다고 하는 '맨틀대류설'은 1920년대 후반 영국의 홈즈(Holmes)에 의해 제시되었습니다. 그는 맨틀 내부의 온도 불균일로 인해 열대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으며, 이를 이전의 베게너가 주장한 '대륙이동'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맨틀이 대류한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여 '설'로 끝났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