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밤하늘 태양계 행성을 눈으로 보는 것은 몇 시간 전 별의 모습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1초에 30만 km를 진행합니다. 태양까지의 거리(1AU)가 1억5천만km이므로 태양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500초입니다. 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 중 가장 멀리 있는 것은 토성으로 궤도 반지름이 10AU입니다. 따라서 토성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충의 위치에 있을 때 지구에서 토성까지의 거리는 9AU가 되어 태양까지의 9배가 됩니다. 이 경우 토성에서 반사된 빛이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4500초(=75분)가 됩니다.가장 멀리 떨어진 경우는 태양과 근접해 있을 때이며 이 때 토성까지의 거리는 19AU가 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밤하늘에 수성, 토성, 목성을 육안으로 구분하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해성 중에서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한 행성은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 5개입니다. 이들 행성들의 공번궤도는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와 거의 일치하므로 태양의 지나가는 경로를 살펴보면 찾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행성은 항성에 비해 밝으므로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역서를 보거나 인터넷에서 위치를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성은 공전궤도가 가장 작아 일출 직전 1시간, 일몰 직후 1시간 정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관측이 매우 어렵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가 40억년 뒤 충돌하게 되면 두 은하가 소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은하가 충돌하면 많은 별들이 충돌하며 대폭발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습니다. 별과 별 사이의 거리는 매우 멉니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는 빛의 속도(30만km/초)로 4.3년이 걸립니다. 따라서 두 은하가 충돌해도 은하를 구성하는 별들끼리의 충돌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두 학교의 운동장에 각각 좁쌀 100개씩 뿌린 후 두 운동장을 겹치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될 겁니다. 그러나 은하의 충돌에 의해 성간물질이 영향을 받아 새로운 별들이 많이 탄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온도의 0도는 어떤 기준으로 정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0도는 섭씨 온도를 말합니다. 섭씨 온도(Celsius)는 1기압에서 물이 어는 온도를 0도로, 1기압에서 물이 끓는 온도를 100도로 정하고 그 사이를 100등분 한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매우 추운 날씨에 호수들이 얼어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요, 근데 보통 호수가 얼면 왜 표면에서부터 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에 있는 물질은 상태변화할 때 부피 변화가 일어납니다. 일반적으로는 기체에서 액체로, 액체에서 고체로 변할 때 부피가 감소합니다. 질량은 그대로인데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밀도는 증가합니다.그러나 물은 4°C에서 부피가 최소가 됩니다. 즉 물이 얼면 부피가 증가합니다. 부피가 증가하면 밀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호수가 얼면 얼음은 표면으로 올라오게 되고 얼음이 단열대 역할을 하여 호수 아래는 얼지 않습니다. 이것은 호수 속 생명체가 생명활동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