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일본이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표면은 10여 개의 크고 작은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판은 그 아래의 맨틀의 유동에 따라 서로 다른 운동을 합니다. 일본은 해양판인 태평양판이 대륙판인 유라시아 판의 아래로 섭입(subduction)하는 경계인 일본 해구 부근에 위치합니다. 일본 해구는 일본의 동쪽 태평야 아래에 위치합니다. 태평양판이 유라시아판의 아래로 섭입하는 과정에서 두 판의 마칠에 의해 지진이 발생합니다. 태평양 주변은 대부분 해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것은 일본만이 아니라 태평양 주변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태평양 주변은 전세계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90% 이상이 발생하는 지역입니다. 이로 인해 태평양 주변을 환태평양 지진대라고 합니다.또한 판이 섭입하는 과정에서 마그마가 발생하고 이것이 상승하여 화산 활동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태평양 주변 지역은 환태평양 지진대 뿐 아니라 환태평양 화산대, 또는 불의 고리(ring of fire)라고도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공전궤도 이심률 변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공전궤도의 이심률은 약 10만 년을 주기로 변합니다. 현재 지구가 근일점과 원일점에 위치할 때의 일사량 차이는 약 7%이지만 이심률이 최대일 때는 최대 23%까지 커집니다. 현재 지구가 근일점에 위치할 때 북반구는 겨울, 남반구는 여름입니다. 이심률이 증가하면 근일점 거리는 감소하고 원일점 거리는 증가하므로, 북반구에서는 겨울은 더 따뜻해지고 여름은 더 시원해지므로 연교차가 감소합니다. 남반구는 북반구와는 반대로 여름은 더 더워지고 겨울은 더 추워지므로 연교차가 증가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