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12월 9일 작성 됨
Q.
해수면이 상승하면 어떤점이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해수면 상승에 따른 가장 큰 위험은 육지 면적이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해수면 상승의 주원인이 온실효과에 따른 기온의 상승이므로 온실기체를 줄여야 하는데 육지 면적이 줄어들면 이산화탄소 제거가 더 어려워집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숲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합니다. 육지 면적이 줄어든다면 숲의 면적도 줄어듭니다. 그리고 저지대의 침수로 이주할 공간과 경작지를 만들기 위해 더 많은 숲을 파괴해야 합니다.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토목공학
2023년 12월 9일 작성 됨
Q.
씽크대에 설치된 대리석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요즘은 인조대리석도 너무 잘 만들어서 구분하기가 힘들기도 합니다. 인조대리석과 천연대리석을 구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묽은 염산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천연대리석은 주성분이 탄산칼슘이라 묽은 염산과 빈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방출합니다. 인조대리석은 대부분 합성수지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천연대리석과 같은 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것입니다.단 염산은 위험물이기 때문에 묽은 염산을 사용하려면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2월 7일 작성 됨
Q.
비행기를 탔을 때 고산병이 생기지 않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고산병은 기압의 차이로 인해 신체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원인입니다. 일반 자연상태에서 높이가 5.5km 상승할 때 마다 기압은 1/2씩 감소합니다. 일반적으로 국제선이 운항하는 높이인 약 10km에서의 기압은 지상의 약 1/4에 불과합니다.여객기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체 내부의 기압을 외부보다 높게 유지합니다. 그러나 지상의 기압과 같게 한다면 동체가 내붕서 바깥으로 향하는 압력을 위험해지기 때문에 지상의 80% 정도로 유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큰 무리는 가지 않지만 예민한 사람은 불편을 느끼기도 합니다.영화에서 기체에 구멍이 뚫리면 사람이나 물체가 밖으로 끌려나가는 것은 기체 내부의 압력이 바깥보다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2월 7일 작성 됨
Q.
지진이 발생한 후 일어나는 쓰나미 속도는 바다 깊이에 따라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쓰나미는 바다에서 볼 수 있는 파도 중 천해파에 해당합니다. 천해파(또는 장파)는 수심이 파장의 1/20보다 낮은 곳에서 진행되는 해파입니다. 쓰나미의 파장은 100km 이상이고, 전세계 해양의 평균 수심은 약 4km입니다. 천해파가 전파될 때 해파의 속력은 (수심×중력가속도)의 제곱근으로 구해집니다. 따라서 수심이 깊은 곳일수록 빠르게 전파됩니다.만일 일본의 서해안(동해를 접한 쪽)에서 쓰나미가 발생하면 우리나라의 동해안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90분입니다. 쓰나미의 도달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수심을 알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2월 7일 작성 됨
Q.
지구온난화로 해수면높아지면 먼저 잠기는나라가 어딘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길 위기에 놓인 나라들은 대부분 산호초로 이루어진 섬나라들입니다. 투발루, 몰디브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