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비행기를 탔을 때 고산병이 생기지 않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람들은 고도가 어느 정도 이상 올라가게 되면 고산병이 온다고 하잖아요 하지만 비행기를 탔을 때 고산병이 오지 않잖아요 이렇게 비행기를 탔을 때 고사병이 오지 않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용준 전문가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병은 기압의 차이로 인해 신체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원인입니다. 일반 자연상태에서 높이가 5.5km 상승할 때 마다 기압은 1/2씩 감소합니다. 일반적으로 국제선이 운항하는 높이인 약 10km에서의 기압은 지상의 약 1/4에 불과합니다.

      여객기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체 내부의 기압을 외부보다 높게 유지합니다. 그러나 지상의 기압과 같게 한다면 동체가 내붕서 바깥으로 향하는 압력을 위험해지기 때문에 지상의 80% 정도로 유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큰 무리는 가지 않지만 예민한 사람은 불편을 느끼기도 합니다.

      영화에서 기체에 구멍이 뚫리면 사람이나 물체가 밖으로 끌려나가는 것은 기체 내부의 압력이 바깥보다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를 탔을 때 고산병이 생기지 않는 이유는 대기압과 산소 공급이 비행기 안에서 적절하게 제어되기 때문입니다. 비행기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아지는 상황에서 운행됩니다. 하지만 비행기 안의 기체 압력은 비행 중에 항상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비행기는 고도가 높아지면서 기체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기체 압축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 시스템은 비행기 안의 공기를 압축하여 비행기 내부의 압력을 지상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합니다. 따라서 비행기 안에서는 적절한 대기압이 유지되어 기체를 구성하는 분자들이 충분한 산소를 흡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행기 안에는 고도에 따라 산소 공급이 조절되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고도에 따라 산소 농도를 조절하여 승객들이 적절한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타면 고도가 높아지지만, 고산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비행기의 내부가 지상과 같은 기압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승객실 내부는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기압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승객실에서는 산소 분압이 지상과 같기 때문에 고산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를 타고 높은 곳에 올라가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유는

      비행기 내부의 기압과 공기 순환 시스템을 통해 기압을 낮추고 공기순환을 시켜서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 내에는 비행기가 고도로 올라감에 따라서 생기는 기압 차이나 산소 농도에 저하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밀폐된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됩니다.

      또한 비행기 내부에는 산소 발생 장치가 있어서 응급 시에 산소가 부족한 상황을 만들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아지면 고산병이 온다는 말은 일부 사실이 맞지만 비행기를 타면 고산병이 오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고산병은 고도가 높아지면서 공기압이 낮아지는 것이 원인입니다. 비행기 안에서는 비행기의 기체가 고도에 따라 공기압을 조절하기 때문에 고산병이 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비행기 안에서는 공기가 움직이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공기가 더 많이 흐르고 이로 인해 산소가 더 많이 공급되어 고산병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듭니다. 그리고 비행기 안에서는 공기가 건조하고 차가워지는데 이는 고산병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비행기를 타면 고산병이 오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비행기를 타고 내려오는 동안 고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면 고산병이 발생할 수 있으니 비행기를 타는 동안에도 적절한 수면과 수분 섭취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병은 고도 2,500m 이상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산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고산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구토,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이 있습니다.

      비행기를 탔을 때 고산병이 오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비행기는 고도가 높아도 순차적으로 올라간다. 비행기는 지상에서 이륙하여 점차 고도를 높여갑니다. 따라서 몸이 고도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 비행기 내부는 압력이 조절되어 있다. 비행기 내부의 압력은 지상에서 약 2,500m 정도의 압력으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몸이 고산병을 일으킬 정도로 산소 부족을 경험하지 않습니다.

      반면, 산악 등반을 통해 고도를 급격히 높일 경우, 몸이 고도에 적응할 시간이 부족하여 고산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산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고도에 천천히 적응한다. 고산병이 발생하기 쉬운 고도에 도착하면, 천천히 적응할 수 있도록 시간을 갖는다.

      •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수분 부족은 고산병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 아세타졸아미드(Acetazolamide)를 복용한다. 아세타졸아미드는 고산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약물이다.

      고산병이 발생한 경우, 즉시 고도를 낮추고, 휴식을 취하며,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한 경우, 산소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병은 개인마다 걸리는사람이 있기도하고 없기도하죠. 비행기도 마찬가지로 고산병이 확정적인게 아니라 케바케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