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21일 작성 됨
Q.
왜 숲이 없어지면 지표의 태양 에너지 반사량이 증가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가시광선 영역에서 촬영한 인공위성 사진이나 항공사진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우리가 보는 가시광선 영역의 사진은 물체에서 반사된 빛을 촬영한 것입니다. 반사를 많이 할수록 밝은색으로 보입니다. 상공에서 볼 때 숲이 있는 곳은 짙은 초록색이고 숲이 사라진 부분은 맨땅이 드러나 밝은 황토색으로 보입니다. 짙은색으로 보일수록 많은 태양복사에너지를 흡수합니다.나무의 잎이 초록색인 것도 테양복사에너지를 잘 흡수하기 위한 것입니다.
토목공학
2023년 11월 21일 작성 됨
Q.
바닥에 얼어 붙은 눈을 제거할 때 염화칼슘을 뿌리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 녹아 이온으로 나뉘는 물질을 전해질이라고 합니다. 염화칼슘은 전해질입니다. 전해질이 물에 녹으면 어는점을 낮추거나 끓는점을 높이는데 이를 어는점 내림 또는 끓는점 오름이라고 합니다. 눈이 내린 길에 염화칼슘을 뿌리면 욤화칼슘이 녹으면서 어는점을 낮춰 영하의 온도에서도 눈이 녹게 되는 것입니다.염화칼슘이 없다면 소금(염화나트륨)을 뿌려도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21일 작성 됨
Q.
태풍의 원인이 지구 온난화라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수증기가 갖고 있는 잠열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열대 저기압니다. 따라서 태풍이 발생하는 곳은 수증기가 많은 곳이어야 합니다. 현재 태풍은 수온이 25°C 이상인 열대 해상에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태풍은 발생 후 북상하는데, 북상할 수 있는 한계는 수증기의 공급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 수온이 높아지므로 태풍이 여름에 집중되어 올라옵니다. 가을을 지나면 수온이 내려가 수증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올라오지 않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전 세계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더 많은 수증기가 공급되므로 태풍의 세력은 더 강해지고 올라올 수 있는 한계는 북상하고 올라오는 시기도 더 연장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21일 작성 됨
Q.
번게가 화산에서 치는경우는 어떤현상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이 분출하는 경우 화산재 구름 속에서 번개가 치는 경우가 있습니다.번개는 대전된 입자 사이에서 전하가 흐를 때 나타나는 방전현상입니다.화산 분출로 나오는 화산재들이 대전된 경우 화산재 사시에 또는 구름 입자나 지면과의 사이에 전하의 흐름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급격한 전하의 흐름에 따른 방전으로 번개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21일 작성 됨
Q.
자전축이 기울어진 것과 날씨가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생기는 것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의 남중고도가 달라집니다.태양의 남중고도가 높을수록 지면에 입사하는 태양복사에너지가 많고, 낮의 길이도 길어집니다(적도 제외). 지면에 입사하는 에너지가 많을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161
162
163
164
1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