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진공상태에서는 소리가 안들리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진공 상태는 말 그대로 아무 것도 없는 상태입니다. 우리가 소리를 듣는 것은 소리라는 파동을 전달해주는 매질이 있기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진공 상태에서는 소리를 전달해 줄 매질이 없기 때문에 소리가 전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주 비행사들의 송수신 장치가 고장난다면 헬멧을 마주 대고 소리를 내서 헬멧이라는 매질을 통해서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밀도가 낮아지는이유?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하신 분의 생각이 맞습니다. 공기 입자도 질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력의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상공으로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해지는 것입니다. 공기의 밀도는 기압을 통해 알아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5.5km 상승할 때마다 기압은 1/2씩 감소합니다. 즉 11km 상공에서 기압은 지상의 1/4 정도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도 오로라가 발견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대전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에 이끌려 이동하다가 대기 입자와 충돌하면서 내는 빛을 말합니다. 이때 산소와 충돌하며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557.5nm 또는 630nm, 질소와 충돌하며 방출하는 빛은 600~700nm입니다. 이 파장 영역은 가시광선 영역에 해당하여 우리 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실제 오로라는 위도 60-80°의 고위도 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은 저위도 지역은 오로라를 관측할 수 있는 확률이 희박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기록은 삼국사기에 처음 나옵니다.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는 동안인 993~1747년 동안에는 무려 7백 여회의 관측 기록이 나옵니다. 2023년 10월 30일 새벽 3시 40분경 경북 보현산 천문대에서 국내 천문역사상 최초로 오로라를 촬영하였습니다.오로라가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것은 태양 활동의 영향이라고 합니다. 10월과 11월에 걸쳐 태양 표면에서는 대규모 폭발인 플레어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막대한 양의 대전 입자가 지구로 유입되어 우리나라 등 저위도 지방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된 것이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그림자의 길이가 바뀌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그림자는 태양빛이 물체에 가로 막혀 가려져 태양빛이 도달하지 않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그림자의 길이는 태양의 고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태양이 수직으로 비추는 경우에는 그림자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질수록 그림자의 길이는 길어집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목성은 가스형 행성인데요. 어떠한 가스로 구성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 행성 중 태양에 가까운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은 암석형 행성, 멀리 있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기체형 행성이라고 합니다. 목성의 상층부 대기는 약 88 ~ 92%의 수소와 8 ~ 12%의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크기와 질량 등을 근거로 볼 때 목성의 내부는 여러 원소들이 혼합된 고밀도의 핵과 그 주변의 액상 금속성 수소층, 대부분 수소 분자로 구성된 외곽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집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