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와 태양의 거리가 겨울에 더 가까운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의 변화는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부극에 해당하는 자전축이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가 여름, 반대쪽으로 기울어져 있을 때가 겨울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타원궤도를 따라 공전합니다. 이에 따라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계속 변하는데, 태양과 가장 가까울 때를 근일점, 가장 멀 때를 원일점이라고 합니다. 현재 근일점에 있을 때 북반구는 겨울, 원일점에 있을 때는 여름입니다.계절의 변화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아니라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방향에 따른 태양의 남중고도 차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날씨예보에 자주 나오는 하층운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하층운은 구름이 분포하는 높이에 따른 분류입니다. 구름은 높이에 따라 상층운(7~10km), 중층운(4~5km), 하층운(1~2km)로 분류합니다. 상층운은 주로 권운류로, 권운, 권층운, 권적운이 있고, 중층운은 고층운, 고적운이 있고, 하층운은 층운, 층적운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낮에 보이는 달은 무슨 이유 때문에 보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은 지구 주위를 하루에 약 13도씩 서에서 동으로 공전합니다. 따라서 달이 뜨는 시각은 매일 약 50분씩 늦어집니다. 낮에 보이는 달은 상현달인 경우가 많습니다. 상현달은 태양보다 늦게 뜨므로 태양이 질 때 남쪽이나 남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으며, 태양빛을 반사하는 달의 오른쪽이 보입니다. 아침에 보이는 경우는 하현달입니다. 보름달 이후 달이 태양보다 먼저 뜨므로 아침에 남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으며, 달의 왼쪽의 보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