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날씨예보에 자주 나오는 하층운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전국 대체로 맑음, 건조주의보 등 날씨예보를 하는 기사에서

"밤사이 우리나라는 산둥반도 남쪽에 자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 대부분이 맑았다. 다만 이 고기압의 흐름을 따라서 온화한 서풍이 상대적으로 차가운 서해 바다 위로 불며 붉은색의 하층운이 만들어졌다. 이 하층운이 서풍을 타고 유입된 수도권과 충남권에는 구름 많은 날씨를 보이는 곳이 있다." 내용에

하층운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크게 권운형, 층운형, 층적운형, 적운형으로 구분하며 고도에 따라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 수직운 이렇게 네 가지로 나뉜다. 상층운(上層雲)은 지상 5천 ~ 1만 3천 미터의 대류권의 저온부에서 형성된다. 중층운(中層雲)은 2천 ~ 7천 미터 높이에서 형성된다. 하층운(下層雲)은 2천 미터 이하에서 형성된다. 하층운이 땅에 닿으면 '안개'로 부른다. 수직운은 수직에서 발달한 구름은 기저부로부터 높이 상승하는 기류를 갖기도 한다. 하층운은 3가지로 나뉜다.

      층운(層雲)은 층구름 또는 안개와 비슷하여 안개구름이라고도 한다. 안개가 공중으로 떠오른 것 같은 낮은 구름으로 여러 조각으로 나뉜 구름 조각이 되는 수도 있어,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 때도 있다. 고도 2,000m까지 나타나는 작은 물방울의 집합체로서, 구름이 아주 엷을 때는 달무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지형의 영향으로 발생하므로 한정된 범위에서만 나타나며, 오랫동안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고 조각조각 흩어져 사라지며, 맑은 날씨를 이룰 때가 많다. 층운에서 내리는 비는 이슬비가 보통이다.

      층적운(層積雲)은 구름의 밑면은 고도가 약 500m, 구름의 꼭대기는 약 2,000m에 이른다. 구름 입자는 물방울로 되어 있고, 구름 덩어리는 둥그스름할 때도 있고 편평할 때도 있다. 회색의 큰 덩어리가 돌려 있는 구름으로 둘둘 말린 모양으로 될 때도 있다. 층적운은 층운이 위로 올라가 생기거나, 적운이나 적란운이 안정한 기층이나 상층의 강한 바람 때문에 연직 방향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수평 방향으로 퍼져 나가 생긴다.

      난층운(亂層雲)은 층운형 구름에 속한다. 비층구름·비구름이라고도 하는 어두운 회색 구름으로 비나 눈을 오게 한다. 때로는 상층과 하층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주로 2,000 ~ 7,000m 높이에서 나타나며 하늘 전체를 덮고 두꺼운 층을 이룬다. 고층운의 운층이 점차로 두꺼워지면서 구름의 바닥이 낮아져서 난층운이 되는 경우가 많다. 난층운 아래에는 흔히 조각구름이 나타난다.

      출처 : 위키백과 - 구름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높이에 따라 명칭이 달라지는데 하층운은 대기에 낮게 깔리는 구름을 이야기 한다고 합니다. 보통 회색이나 흰색으로 보인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층운은 대기의 낮은 고도에서 발생하는 구름으로, 대체로 높이가 2,000m 이하인 구름을 말합니다. 하층운은 대기의 낮은 고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날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날씨예보에서는 하층운의 존재 여부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합니다.

      하층운은 대기의 낮은 고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발생하는 구름보다는 더 두꺼운 구름으로, 대체로 흰색 또는 회색으로 보입니다. 하층운은 대기의 낮은 고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날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날씨예보에서는 하층운의 존재 여부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합니다.

      날씨예보에서 하층운이 언급되는 이유는, 하층운이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서 날씨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하층운이 발생하는 지역에는 구름이 많이 끼어서 날씨가 흐리고 비가 올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는 하층운이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서 온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날씨예보에서는 하층운의 위치와 양을 고려하여 온도를 예측합니다.

      따라서 날씨예보에서 하층운의 존재 여부를 알려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층운이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서 날씨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하층운의 위치와 양을 고려하여 정확한 날씨예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떠 있는 높이에 따라 분류를 할때.


      하층운(지표~2km), 중층운(2~6km), 상층운(6~13km)으로 분류를 합니다.



      층구름을 층운 이라고도 부르는 거구요.


      : 안개가 떠오른 느낌이 나는 낮은 구름으로, 비가 갠 후에 산 중턱에 걸쳐 잘 나타난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층운은 날씨 예보에서 자주 언급되는 구름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하층운은 대기의 낮은 층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형성되고 보통은 회색이나 흰색으로 보입니다.

      하층운은 주로 안정된 날씨와 연관되며,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됩니다. 이런 구름은 주로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발생하며, 날씨가 안정되어 있을 때에는 며칠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하층운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하층운 종류로는 층과 적란운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층운은 지표면에서 2000m 이하의 대기권에서 형성되는 구름입니다. 지표면에서 가까운 곳에 형성되기 때문에, 하층운은 기온과 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층운(下層雲)은 2천 미터 이하에서 형성됩니다. 하층운이 땅에 닿으면 '안개'로 부릅니다. 이 구름은 비를 머금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층운(層雲)은 층구름 또는 안개와 비슷하여 안개구름이라고도 합니다. 안개가 공중으로 떠오른 것 같은 낮은 구름으로 여러 조각으로 나뉜 구름 조각이 되는 수도 있어,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보일 때도 있습니다.

      고도 2,000m까지 나타나는 작은 물방울의 집합체로서, 구름이 아주 엷을 때는 달무리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지형의 영향으로 발생하므로 한정된 범위에서만 나타나며, 오랫동안 남아 있는 경우는 드물고 조각조각 흩어져 사라지며, 맑은 날씨를 이룰 때가 많습니다.

      층운에서 내리는 비는 이슬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