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5일 작성 됨
Q.
우박은 어떤 과학적인 현상으로 내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우박은 구름 내에서 강한 상승기류에 의해 서로 부딪혀 커진 물방울이 매우 높은 곳까지 올라가 응결된 것입니다. 상승기류에 의해 오르락내리락 하는 동안 커지기 때문에 동심원 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4일 작성 됨
Q.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은 항성인가요? 행성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밤하늘에 보이는 대부분의 천체는 별(항성)입니다. 밤에 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은 화성, 목성, 토성 밖에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고기압은 비오는경우가 없는데 저기압만오면 비와바람이 동반되는이유?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저기압은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곳입니다. 따라서 주변으로부터 공기가 모여듭니다. 모인 공기는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동안 단열팽창하는 과정에서 응결이 일어나 구름이 형성됩니다. 구름이 형성되면 구름 방울끼리의 충돌에 의해 더 커진 빗방울이 만들어져 비가 내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고기압은 반대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곳이므로 중심부에는 하강기류가 존재합니다. 공기가 하강하는 동안 단열압축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습도는 낮아지므로 구름은 사라지고 맑은 날씨가 나타납니다.
화학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겨울철 해수면 수온 변화 제발 급해요ㅜㅜ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그림 상으로는 동해에서 난류의 영향은 2020년에 더 강했습니다. 반대로 블라디보스토크 부근에 보이는 한류의 영향은 2023년에 더 강했습니다. 그러나 겨울철 동해에서의 수온 변화를 특정 날짜에 해당하는 이 두 사진으로만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2020년에 라니냐가 발생했으므로 서태평양으로 몰려온 따뜻한 해수의 영향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해수면 수온이 어떻게 변화 해왔는지 알려주세요 급해요 ㅜㅜ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이 두 사진만으로는 여름의 수온이 더 높다는 것 외에는 알 수가 없어요. 2022년 자료가 있으면 비교 가능하지만...그래도 어거지로 해석한다면 8월의 황해 수온은 일반적으로 많은 강수량으로 인해 해안선 부근이 중앙부보다 낮습니다. 그러나 사진상에서는 중앙부나 해안선 부근이나 수온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강수량이 적었거나 해수 수온 상승의 영향 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황해난류가 예년보다 강해져 황해 전체의 수온을 끌어 올린 것으로 보입니다.겨울 것과 함께 해석한다면 우리나라 부근 해수의 ㅛ층수온은 전반적으로 상승했으며, 특히 황해로 들어오는 난류의 영향이 강해졌음을 알 수있습니다. 이것은 황해의 수심이 낮아 열용량이 작기 때문에 작은 변화에도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혹시 도움이 더 필요하시면 3dragong@hanmail.net 으로 연락주세요.
171
172
173
174
1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