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구름은 어떻게 형성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흔히 구름을 수증기가 뭉친 것으로, 즉 기체라고 생각하는 데 구름은 액체인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기가 상승함에 따라 단열팽창하고 이로 인해 공기의 온도는 내려갑니다.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다가 이슬점(현재 공기의 수증기량이 포화상태가 되는 온도)에 도달하면 공기 중의 여분의 수증기는 응결되어 물방울(구름입자)이 됩니다. 이 때 만들어진 구름입자는 매우 작아서 상승기류에 의해 떠받쳐저 공기 중에 떠있게 됩니다. 구름 내부에서 기류에 따라 움직이던 구름입자끼리 충돌하고 합체가 되어 커진 물방울이 상승기류에 의해 받쳐지는 힘보다 무거워지면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를 비라고 합니다.중위도 지방에서는 상승기류에 의해 더 높은까지 올라가 얼어붙어 눈이 되었다가 낙하하는 과정에서 기온이 높으면 녹아서 비가 된다고도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수면 수온이 어떻게 변화 해왔는지 알려주세요 ㅠㅜ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이 사진만 사지고 수온의 변화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변화는 기준값이 있어야 합니다. 적어도 2022년 1월 3일 자료가 있으면 작년과의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그냥 보기에는 10°C 등수온선이 동해에서는 상당히 북상했고, 황해에서도 중앙부에서 상당히 북쪽으로 파고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월이면 특히 황해는 전반적으로 한랭한 것이 보통이지만 2023년 1월에는 황해 중앙부로 난류대가 파고드는 것이 보입니다. 따라서 비교값이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난류의 영향이 강해져 동해와 황해의 평균 수온은 상승했고, 특히 황해로 유입되는 황해난류가 강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고비사막 등의 사막은 어떤 기준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사막은 지리학에서는 최한월의 평균 기온이 섭씨 영상 10도 이상이고, 연 강수량은 250mm 이하인 지역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모래사장이 광활하게 펼쳐진 곳을 생각하지만 모래사막보다는 암석사막이 더 많습니다. 남극대륙도 눈으로 덮여있지만 위의 기준으로는 사막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비오는날 또는 물기가 있는 바닥에 슬리퍼를 신으면 미끄러운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슬리퍼는 일반 신발에 비해 바닥이 매끄러운 편입니다. 바닥에 물이 있으면 물을 밟았을 때 물이 슬리퍼 바닥의 요철을 채우고 물이 있는 바닥면과의 사이에 수막을 형성합니다. 수막이 형성되면 물의 윤활 작용에 의해 슬리퍼 바닥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미끄러지게 됩니다. 슬리퍼만이 아니라 바닥면 매끄러운 신발들을 이와 같은 수막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으니 젖은 바닥면을 걸을 때는 슬리퍼가 아니어도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아침 8시쯤에 떠있는 저 크고 밝은 건 달인가요 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금 사진으로 볼 때 해입니다. 사진처럼 해를 볼 수 있는 것은 구름의 영향입니다. 구름이 태양빛을 감소시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