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가 꽤 큰 것 같은데 중심까지는 얼마나 깊은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반지름이 약 6371km입니다. 지구가 타원체이므로 6371km는 평균값입니다. 지구의 반지름은 적도가 극보다 깁니다. 적도 반지름은 6378km, 극반지름은 6357km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지레의 원리는 어떤것이길래 작은힘으로 물건을 올릴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레는 힘을 주는 힘점, 주어진 힘이 물체에 작용하는 작용점, 그리고 받침점으로 구성됩니다. 이때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힘점에 준 힘의 크기)와 (작용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작용점에 있는 물체의 무게)가 같다는 것이 지레의 원리입니다.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받침점과 작용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물체를 움직이는데 적은 힘이 들어갑니다.지레는 힘점과 작용점, 받침점의 위치에 따라 1종 지레, 2종 지레, 3종 지레로 구분합니다. 1종 지레는 힘점과 작용점 사이에 받침점이 있는 경우, 2종 지레와 3종 지레는 받침점에 대해 힘덤과 작용점이 같은 방향에 있는 경우입니다. 2좀은 힘점이 멀고 3종은 작용점이 멉니다. 2종은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작용할 때, 3종은 반대로 큰 힘을 주어 작은 힘을 작용할 때입니다. 1종의 예로는 시소, 2종은 병따개, 외발수레, 3종은 핀셋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지축이 서서히 변하나요? 아니면 변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축은 크게 2가지로 변합니다. 하나는 세차운동이라는 것으로 팽이가 돌 때 축이 원을 그리며 도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세차운동의 주기는 26000년입니다. 현재는 지구가 태양에 가까울 때(근일점) 북반구는 겨울입니다. 그러나 13000년 후에는 여름이 됩니다.둘째는 지구 자전축 경사각의 변화입니다. 현재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궤도에 수직인 선에 대해 23.5°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합니다. 그러나 이 각도는 현재의 값이며 21.5°~24.5° 사이에서 변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나선은하와 타원은하가 크게 일반적인데 이둘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외부 은하는 눈에 보이는 형태에 따라 구분합니다. 나선팔이 보이는 것은 나선은하, 타원모양으로 보이는 것은 타원은하, 특정한 형태를 보이지 않는 것은 불규칙은하로 구분합니다. 타원은하는 원에 가까운 것에서부터 찌그러진 정도에 따라 E0부터 E7까지 구분합니다. 나선은하는 중심부근에 막대 모양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정상나선은하(S)와 막대나선은하(SB)로 구분합니다. 나선은하는 나선팔의 감긴 정도와 중심핵의 크기에 따라 Sa, Sb, Sc와 SBa, SBb, SBc로 구분합니다. 대표적인 정상나선은하로는 안드로메다은하가 있고, 막대나선은하로는 우리은하가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안개의 발생 원리가 궁금합니다. 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물방울입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품을 수 있는 수증기 한계(포화수증기압)보다 수증기가 많아야 합니다. 공기가 최대로 품을 수 있는 수증기량은 공기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공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많습니다. 현재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상태가 아니더라도 기온이 내려가면 포화 상태에 도달할 수 있고 안개가 만들어집니다. 가을이나 초겨울 아침에 볼 수 있는 안개는 이런 과정으로 만들어집니다. 밤 사이 지면이 냉각됨에 따라 지면과 접한 지면 부근 공기의 온도다 내려가면서 발생합니다. 또한 공기의 온도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므로 공기가 산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경우에도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공기 중에 수증기가 공급되어 포화상태가 되면 안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을이나 겨울철에 볼수 있는 강안개가 이런 과정으로 만들어집니다. 기온에 비해 강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강표면에서 증발을 통해 공기 중으로 공급된 수증기로 인해 난개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811821831841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