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15일 작성 됨
Q.
수많은 별 중에서 가장 밝은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밝다는 것에는 2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별의 실제 밝기를 말하는 절대 등급과 눈에 보이는 대로의 밝기를 의미하는 겉보기 등급입니다. 실제로는 어두운 별이라도 가까이 있기 때문에 밝아보이는 것이 있고 실제로는 무지 밝은데 너무 멀리 있어서 어둡게 보이는 것도 있습니다. 별의 밝기를 나타내는 등급은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며 5등급 차이는 100배의 밝기 차, 10등급은 10000배의 밝기차가 납니다. 우리 눈으로 보기에 가장 밝은 별은 태양입니다. 절대 등급은 4.83이지만 가까이 있기에 겉보기 등급은 -26.73입니다. 밤하늘에서 사장 밝게 보이는 별은 시리우스입니다. 겉보기 등급은 -1.46입니다.
화학
2023년 10월 15일 작성 됨
Q.
석탄화력 발전이랑 열병합 발전소의 차이를 잘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화력발전은 화석연로를 연소시켜서 수증기를 발생시킨 후 그 수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것입니다. 열병합은 전기와 열 모두를 생산하는 것입니다. 전기만 생산하느냐 아니면 열(온수)까지 생산하느냐 하는 차이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15일 작성 됨
Q.
강물이 굽어질때 안쪽과 바깥쪽중 어디가 빠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곡류에서는 같은 시간 동안 이동하는 거리가 바깥쪽이 더 길어서 안쪽보다 유속이 빠릅니다. 유속이 빠른 만큼 공격사면이 되어 침식이 일어나고 수심도 깊어집니다. 안쪽은 유속이 느려 퇴적이 일어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0월 15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가장가까운 행성은 어디고 거리는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 행성 중 지구와 가장 가까운 행성은 금성입니다. 금성과 지구가 가장 가까울 때의 거리는 약 4500만km입니다. 행성이 아닌 항성이라면 프록시마a로 4.3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화학
2023년 10월 14일 작성 됨
Q.
할아버지세대에는 연탄사용하다가 돌아가셨다던데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연탄은 석탄으로 만든 것으로 주성분이 탄소입니다. 탄소를 연소기킬 때 산소가 충분한 상황이면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지만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일산화탄소가 만들어집니다. 일산화탄소는 호흡을 통해 혈액에 들어가 적혈구가 산소와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산소 운반 능력을 떨어뜨립니다. 이로 인해 산소 결핍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181
182
183
184
1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