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화학
화학 이미지
Q.  방사능의 경우, 반감기가 얼마나 되나요?
반감기는 방사성 물질의 양이 처음 양이 1/2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물질마다 반감기가 다릅니다. 우라늄(235)의 은 약 7억 년, 우라늄(238)은 약 45억 년, 탄소(14)는 약 5700년, 요즘 한창 핫한 삼중수소는 약 12.3년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극한호우에 대한 분석 글 중에, 온실기체가 무엇인가요?
온실 효과는 온실 안에 특별한 난방 장치를 하지 않아도 외부보다 온도가 높은 현상을 말합니다. 온실을 이루는 유리는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단파)은 통과시키지만 지면에서 방출되는 빛(적외선)이 밖으로 나가는 것은 차단합니다. 이로 인해 온실 안에서는 들어오는 에너지가 나가는 에너지보다 많아 온도가 올라갑니다. 온실 기체는 온실의 유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체로 지구가 방출하는 적외선 복사를 흡수한 후 지구로 재복사합니다. 온실 기체로는 이산화탄소(CO2), 수증기(H2O), 메테인(CH4), 일산화이질소(N2O), 오존(O3) 등이 있습니다.온실 기체가 온실 효과를 일으키는 정도를 지구온난화지수(GWP)라고 하는데 이산화탄소를 1로 할 때, 메테인은 21, 일산화이질소는 310입니다. 이산화 탄소의 지구온난화지수가 가장 작은데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은 그 양이 다른 기체에 비해 매우 많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각 기체가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는 이산화탄소가 65%, 메테인 15%, 일산화이질소가 6%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일본 후쿠시마 원전폭발 오염수 방류로 시끄러운데요 여기서 반감기란 용어가 무슨 뜻인지요?
반감기는 방사성 동위 원소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방사성 동위원소 중에는 스스로 붕괴하여 다른 물질(딸원소)로 변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들이 딸원소로 변하는 비율은 원소마다 다른데 모원소가 처음 양의 1/2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합니다. 반감기를 회 지나면 모원소는 처음의 1/2이 남고 2회 지나면 그것의 1/2인 1/4이 남습니다. 반감기는 온도나 압력 등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산이 폭발해서 그대로 굳은 도시 있잖아요?
폼페이를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폼페이는 용암이 아니라 화산재에 덮여 매몰된 것입니다. 베수비오스 화산이 분화할 때 날아온 고온의 화산재에 의해 도시 전체가 묻혀버린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에베레스트 산이 점점 높아진다고 들었는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에베레스트 산이 속한 히말라야 산맥은 판의 이동에 따라 인도판과 유라시아 판의 충돌로 만들어진 습곡산맥입니다. 인도판이 아직도 유라시아판 쪽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상황이어서 히말라야 산맥의 전체적인 높이는 증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에베레스트의 높이를 8848m라고 했디만 중국측의 정밀 조사에 따르면 8850m라고 합니다.
2162172182192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