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 현상 중 액체화 현상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액상화 현상이란 겉으로는 문제 없이 단단해 보이는 지반이 지진의 흔들림으로 인해 액상화 즉 액체화 되는 것을 말한다. 그 결과 비중이 높은 지상의 건물이나 도로 등이 침하하거나 기울어지는 피해를 입고 비중이 낮은 지하수의 수도관 등과 같은 구조물들이 파손되어 단수 누수 등의 피해를 입게 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일반적으로 금은 순금이 아니면 변색한다고 들었는데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순금이 아니면 변색이 옵니다.은 : 공기중에서 산화하지 않으나 유황 화합물에 닿으면 검은색으로 변합니다. 공기중에 황 성분이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 변색되고요구리 : 그리도 녹슬지 않으나 공기와 만나면 녹청색 변색이 오죠14k, 18k 변색 이유는 제품속에 녹아 있는 구리나 은이 공기와 반응해서 생기는 변색이 가장 큰 거 같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대공포 포탄이 폭발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대공포의 원리는 먼저 포탄을 쏘면 포탄이 항공기 근처에 갔을 때 근접신관(표적 근처에 갔을 때 폭발하는 신관)이 폭발해서 파편이 튀어 항공기 동체에 구멍을 내는 형식으로 비행기를 격추시킵니다. 그래서 영화를 보면 대공사격을 할 때 함대 주변에 검은색 구름이 잔뜩 생기는 겁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주기율표에서 같은 족에 있는 원소는 왜 비슷한 성질을 갖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최외각 전자가 같으면 화학적 성길이 비슷한 이유는 화학 결합의 특징과 관련있습니다.화학결합의 종류에는 이온결합, 공유결합, 금속결합, 공유결정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또 원소 중에는 비활성기체[18족]을 제외 하면 모든원소는 다른 원소와 결합해서 안정해 질려고 합니다.다른 원소와 결합 할려면 이온결합이나 공유결합을 해야합니다.이온결합의 경우는 전자를 주고 받는 것이고 공유 결합은 전자를 공유하는 것입니다.이렇게 전자를 주고 받거나 공유 할려면 안쪽에 있는 전자를 주고 받는 것 보단 에너지준위가 높은 최외각에 있는 전자를 이용하는 것이 쉽죠.그래서 원소의 화학적 특징은 최외각 전자수에 관련 있는 거지요.근데 왜 최외각 전자수가 같으면 왜 성질이 비슷해지는 지냐면 옥텟규칙과 과련이 있습니다.옥텟규칙이란 K껍질을 제외한 L,M,N.... 껍질에서는 최외각 전자수가 8개(K껍질은 2개)가 돼어서 안정해 질려는 성질입니다.예를들어 리튬은 최외각 전자가 하나입니다. 따라서 리튬은 옥텟 규칙을 만족시키면서 안정해 질려고 합니다. 그래서 최외각에 전자 7개를 얻는 것보다는 가지고 있는 최외각 전자 1개를 버리면서 안정해질려고 합니다. 따라서 +1가의 양이온이 됩니다. 그래서 음이온인 -1가 Cl,OH등 과 이온 결합을 하지요.이와 마찬가지로 리튬과 같은 족인 나트륨,칼륨,세슘등이 리튬과 같이 최외각 전자 하나를 내놓아 안정해질려고 하므로 +1가 양이온이 되서 -1가 물질과 화학결합을 하는 것입니다.따라서 최외각 전자가 비슷하면 비슷한 물질과 반응 하므로 화학 성질이 비슷해지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맑은날보다 흐린날 몸의 컨디션이 떨어지는 과학적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오는날은 기압이낮고 온도가 내려가서 통증이 나타날수 있습니다.기압이 낮아지면 관절 내 압력이 높아지면서 관절 내 조직의 팽창이 일어나 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이때 통증이 발생합니다.또한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이면 기온이 떨어지는데, 이때 관절로 오는 혈류량이 줄어들면서 염증 유발 물질이 늘어나면서 통증이 심해집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절대습도와 상대습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절대습도는 뒤에 '양'자가 생략됐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즉. 절대습도는 수증기량 즉 공기 1kg에 들어 있는 수증기의 양(kg)을 나타낸다.상대습도는 1세제곱미터 공기가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 대비 현재 공기중에 포함된 수증기양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생산을 제외하고 로봇을 이용한 분야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서빙분야에 이용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청소 가사일을 돕는 거, 탐사, 경기 쪽에도 많이 사용되며요즘은 군사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각 종 서비스 분야와 의료분야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선글라스가 자외선을 차단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선글라스 렌즈에는 자외선 차단 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이 물질은 자외선을 다른 파장의 빛이나 열로 전환시켜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또 선글라스 색이 짙을수록 자외선 차단이 더 잘 될 것 같지만,사실 이는 동공을 확장시켜 자외선을 더 많이 침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너무 짙은 색의 선글라스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편광렌즈는 일부 가시광선을 통과시키고,우리의 눈을 부시게 하는 난반사된 편광은 차단 또는 걸러 내주는 역할을 합니다.따라서 이는 난반사된 편광을 차단시켜, 눈부심이 덜하고 개선된 시야 확보와 고해상도를 제공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텔레비전을 고르다보면 OLED, QLED가 있던데 차이점이 과학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QLED tv는 액정 뒤에 백라이트를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사용하는 것은 LED tv와 동일하나 액정과 백라이트 사이에 퀀텀닷물질이 발려있는 확산 필름을 한장 추가해서 색상과 밝기를 강조하는 효과를 사용하는 tv 입니다.OLED tv는 백라이트가 필요없고 액정자체가 유기물질로 스스로 빛을 냅니다.LED TV 와 QLED TV는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같은 기술의 계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OLED TV는 백라이트 없이 스스로 빛을 내는 차세대 기술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가 내리고 나면 또는 장마철이 지나고나면 식물들이 급성장해있는 느낌을 받습니다. 생물학적으로 그 원인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그 동안 물 흡수를 잘 못하고 있어 시들어 있다가 물을 마음껏 흡수하고 나니 생기가 돋는 것입니다. 그리고 빗물에 의하여 잎이 깨끗하게 씻어진 것도 있습니다.
1461471481491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