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가 알고 있는 '황토'는 어떠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황토의 효능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이 황토의 효소 성분과 원적외선 효과다. 황토의 효소에는 카탈라아제, 디페놀옥시다아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의 네가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효소들은 각기 독소 제거 및 분해, 비료 성분, 정화 작용 등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황토의 가장 큰 효능은 황토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다. 황토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의 파장은 8-14 마이크론으로 우리 몸 속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탄소연대 측정법은 어떻게측정이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탄소-14는 공기 중에 일정한 비율로 존재해요. 우주에서 지구로 들어온 우주선은 대기 중의 분자와 충돌하며 중성자를 만들어 내요. 중성자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질소-14와 충돌하며 탄소-14를 계속해서 만들어 내지요. 살아 있는 동식물은 각각 호흡과 광합성 작용을 통해 공기 중의 탄소-14를 방출하고 흡수해요. 이 때문에 동식물의 체내에는 대기 중의 탄소-14 와 같은 비율을 유지하지요.하지만 생물이 죽어 대사 작용을 멈추면, 생물은 더 이상 대기와 탄소 교환을 하지 못해 탄소-14를 체내로 흡수할 수 없어요. 그런데 탄소-14는 불안정한 성질을 띠고 있어 방사선을 방출하며 안정한 질소-14로 변하죠. 즉, 탄소-14의 수는 점차 줄어드는 거예요. 이렇게 시간이 흐르며 탄소-14가 사라지는 성질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유물의 나이를 추정해요. 탄소-14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반감기)은 5700년이에요. 예를 들어 유물 속의 탄소-14가 16개에서 8개로 줄어드는 덴 5700년, 4개로 줄어드는 덴 1만 1400년이 걸리는 거지요. 따라서 불안정한 방사성 원소 ‘탄소-14’가 붕괴하며 방출하는 에너지를 측정하면 우리는 유물에 탄소-14의 양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역으로 추정할 수 있어요. 그럼 유물의 나이를 알아낼 수 있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Q. 현재까지 관측된 별중 가장 멀리 떨어진 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 별은 태양보다 약 2배 뜨거우며, 최대 100만 배 밝다. 이 별은 태양을 향해 너무 높이 솟아올랐다가 날개에 쓰인 초가 녹아 바다로 추락한 고대 그리스 신화 속 주인공 '이카로스'(Icarus)의 이름을 따 명명됐다.은하계 훨씬 밖 행성들을 찾아내는 데 이용되곤 하는 이 현상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라 빛이 중력의 영향으로 경로가 바뀌면서 마치 렌즈처럼 멀리 있는 천체를 확대하게 된다. 천문학자들은 이를 통해 본래대로라면 희미해서 볼 수 없는 힘든 천체도 관측할 수 있다.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해 초신성을 관측하다가 한 점의 빛을 알아챌 수 있었고, 이후 이것이 하나의 별이라는 사실을 알아챘다. 이어 50억 광년의 거대한 은하단의 중력에 따른 렌즈현상으로 청색 초거성(blue supergiant)인 이 물체를 관측할 수 있었다.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의 알렉스 필리펜코 교수는 "우리는 사상 처음으로 90억 광년 거리의 하나의 일상적인 별을 볼 수 있었다"며 "이는 초신성이 아니고 감마선 폭발도 아니며, 하나의 안정적인 별이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