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야구공의 회전수가 공 속도를 증가시켜주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야구공이 1분 동안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횟수를 나타냅니다. 야구 투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RPM이 높을수록 투구 시 움직임이 많아져 타자가 공을 치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투수는 일반적으로 그립, 팔 각도, 릴리스 포인트를 통해 공에 스핀을 발생시킵니다. 직구, 커브볼,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 다양한 유형의 투구에는 각기 다른 스핀 속도가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각 투구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회전수가 높은 직구는 종종 "상승" 효과를 나타내어 타자가 공을 똑바로 맞히기 어렵게 만듭니다. 반면, 회전율이 높은 커브볼이나 슬라이더와 같은 변화구는 더 날카롭고 극적인 변화구이기 때문에 타자가 공의 경로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직구의 경우 회전수가 높을수록 공이 타자에게 다가갈 때 공이 상승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켜 타격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반면, 커브볼과 같은 변화구의 경우 스핀율이 높을수록 공이 더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타자가 공의 경로를 예측하고 견제하기 어렵습니다.RPM(분당 회전수)이 높을수록 공이 더 빠르게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공의 움직임이 더 뚜렷해집니다. 움직임이 증가하면 타자가 공의 경로를 예측하고 견고한 컨택을 하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높은 RPM으로 인한 스핀의 증가는 상대 타자의 스윙과 미스 또는 접촉 약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투수에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구 속도, 위치, 속임수와 같은 다른 요소도 투수의 전반적인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아래의 표는 더 빠른 속도 + 스핀 = 스윙 스트라이크라는 추세를 명확하게 보여 주며, 몇 가지 호기심 많은 아웃라이더가 있습니다.세로축은 속도이고, 가로축은 RPM을 뜻하며 오른쪽 밑으로 갈수록 속도가 빠르고 RPM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거기서보면 오른쪽 밑으로 갈 수록 스윙 스트라이크 비율이 높은 걸 알 수 있습니다.
Q. 앙투안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의 업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앙투안로랑 드 라부아지에(프랑스어: Antoine-Laurent de Lavoisier, 문화어: 앙뜨왕 라부아지에, 1743년 8월 26일~1794년 5월 8일)는 프랑스의 화학자이자 공직자이다.연소에 관한 새로운 이론을 주장하여 플로지스톤설을 폐기하면서 화학을 크게 발전시켰고, 산화 과정에서 산소의 작용, 산화나 호흡 간의 정량적인 유사점 등을 발견하기도 하였다. 또한 화학 반응에서 질량 보존의 법칙을 확립하였으며 원소와 화합물을 구분하여 근대 화합물 명명법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화학에 정량적인 방법을 처음으로 도입한 학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그러나 세금 징수원으로 활동하면서 심각한 가렴주구와 폭정으로 프랑스 백성들을 수탈했다는 혐의를 받아, 프랑스 대혁명의 여파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단두대에 오르며 생을 마감했다.
Q. 케플러의 제1법칙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케플러 제일 법칙은 태양계 내부 행성들이 태양을 초점으로 타원궤도를 따라 운동하는 타원궤도 법칙을 의미한다. 이 법칙은 케플러(J. Kepler, 1571-1630)에 의해 관측으로 확인된 후 뉴턴(I. Newton, 1642-1727)의 만유인력에 의해 이론적으로 설명이 되었다.케플러는 브라헤(T. Brahe, 1546-1601)의 관측 결과를 이용하여 행성이 태양 중심으로 원운동이 아니라 타원운동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태양을 중심으로한 행성의 운동 면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행성이 휩쓸고 지나간 면적이 일정함을 밝혔다그림 1. 케플러의 타원궤도 운동.케플러 제1법칙 : 행성은 태양을 초점으로 타원운동을 한다. 그림 1에서 태양은 f1에 있고, 첫 번째 행성(planet 1)의 타원운동 초점은 f1과 f2이고, 두 번째 행성(planet 2)의 타원운동 초점은 f1과 f3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