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알려주세요 나노입자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적어도 한 차원이 100nm, 다시 말해 천만분의 1미터(100nm=100.0×10-9m) 이하인 입자이다. 분자나 원자를 조작하여 새로운 소재, 구조, 기계, 기구, 소자를 제작하고 그 구조를 연구하는 나노기술의 영역에 속하는 입자이다.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면 덩어리에 비해 표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게 되는데, 표면적이 증가하면 표면에 결합하는 원자들이 많으므로 불안한 상태가 된다. 이는 마치 수류탄 속에 들어 있는 크기가 작은 금속 입자들이 공기에 노출되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므로 수류탄이 터지는 것과 같다. 따라서 금, 백금과 같은 촉매 나노입자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촉매 효율을 높인다. 전기소자로 사용하는 경우 공기 중 기체가 나노입자에 달라붙어 원래의 기능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Q. 전자레인지에 금속을 넣으면 안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많이 질문하는 게 음식물을 덮어놓은 알루미늄 호일 같은 거 그냥 넣으면 안되냐는 거다.마이크로파는 금속을 뚫고 들어가지 못한다. 음식물 데우듯이 안으로 들어가지를 못한다. 그래서 표면에서 지랄발광을 하게된다. 특히 이게 뾰족한데 모이게 되면 문제가 커진다. 한쪽으로 쏠리게 되고 그러다가 못 견디면 빵하고 터진다. 터질 때 나타나는 게 스파크가 되는 것이다.자, 그럼 여기서 머리가 회전이 빠른 당신은 이런 생각을 할 것이다. 숟가락과 포크는? 하나는 둥글둥글하고, 하나는 끝이 뾰족한데?맞다, 포크 쪽이 뾰족하기에 스파크가 쉽게 튄다. 궁금하다면 시험할 방법을 하나 알려주겠다. 소세지 한쪽 끝을 뾰족하게 잘라넣고 돌려보다. 제법 높은 확율로 스파크를 볼 수 있다고 한다.스파크 정도 튀는 게 무슨 문제가 되냐고? 한번씩 충전 케이블 떼낼 때로 생기는데?작은 스파크라면 번쩍거리고 말겠지만 스파크가 돌아가는 동안 계속 생기고, 재수 없으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스파크가 전기 에너지의 방출이기 때문에 전자 레인지를 망가트릴 수도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목성의 위성에 대해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은 작은 태양계라 불리기도 한다.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과 소행성 등 여러 천체들이 도는 것처럼 목성주위로 수많은 위성들이 돌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그 많은 위성들 중에 우리에게 친근한 위성은 갈릴레이 위성일 것이다. 이 천체를 제일 처음 찾아낸 사람은 갈릴레이로 1610년 자신이 만든 굴절망원경을 통해 목성근처에서 발견했다. 꾸준한 관측을 통해 갈릴레이는 네 개의 천체들이 목성의 위성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이 네 개의 위성들이 훗날 갈릴레이의 위성으로 불리어지게 된 것이다. 이 위성들은 곧 이어 독일의 천문학자이며 안드로메다를 발견한 시몬 마리우스(Simon Marius)에 의해 각각의 이름들(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이 붙여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