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왜 더 빨리 얼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여러 가지 가설들은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은 뜨거운 물 분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증발이 더 잘 일어나기 때문에, 뜨거운 물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더 빨리 언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용기를 밀폐해서 증발효과를 제거해도 음펨바 효과는 관찰된다. 또 뜨거운 물에는 녹아있는 기체의 양이 적어서 빨리 언다거나, 뜨거운 물이 용기 주변의 환경을 변화시켜서 냉각 과정을 바꾼다는 주장도 있다.대류현상도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초기에 외부로 잃는 열의 양이 많아서 대류현상이 뜨거운 물에서 더 활발해진다는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외부로 열을 더 빨리 잃게 된다. 하지만 대류현상은 용기의 모양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 가설은 보편화되기가 어렵다.최근에는 과냉각 이론이 거론되고 있다. 물이 얼음으로 되려면 응결핵이 필요한데 응결핵이 없으면 물은 0도에서도 얼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을 과냉각이라 한다. 뜨거운 물이 약 영하 2도에서 얼은 반면에 차가운 물은 영하 8도에서 얼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긴 하지만, 그 원인이 확실치 않아서 음펨바 효과를 뒷받침해주기에는 부족하다.이 모든 가설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음펨바 효과가 나타난다고 말하기도 한다. 온도, 증발, 대류, 용존 기체, 전도와 같은 현상이 동시에 작용하여 뜨거운 물이 식을 때 물이 증발하고, 이 증발로 인해 많은 열을 잃고 또 물의 양이 줄어서 빨리 얼게 된다는 것이다.다양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음펨바 효과의 결정적인 원인을 알려주는 이론은 없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장실이나 세면대에서 물을 내릴때 항상 회전하면서 내려가잖아요. 근데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그 회전 방향이 다르다고 하던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흘러가는 방향에 지구의 자전에의한 전향력은 항상 영향을 미칩니다. 변기나 욕조의 물에도 전향력이 작용하는 것이죠. 다만 물의 양이나 전향력을 받는 면적이 지구 대기 현상의 규모에 비하면 현저히 적기 때문에 변기나 욕조, 세면대의 물은 전향력에 의해 아주 미미한 영향을 받는다고 볼수 있습니다. 오히려 물이 흘럭ㄹ때 전향력보다는 배수구의 모양 구조 등의 영향을 받는 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북,남반구에서라도 시계방향으로 물이 빠지는 것도 있고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남반구와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현상인 오로라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지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오라의 현상 원리를 과학적으로 살펴보면 태양의 플라스마 때문이라고 합니다. 태양에서 플라스마 일부가 지구의 자기장으로 인해서 대기에 진입하게 되고, 지구의 공기와 반응하면서 빛을 발생시키는데 이때의 현상을 우리가 말하는 "오로라"라고 합니다. 오로라는 지상에서 90 ~250km 상공에서 거대한 커튼처럼 펼쳐지는 모양을 하며 나타나는데요. 이러한 모습때문에 오로라 커튼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오로라를 보면 가장 아래쪽이 색이 밝고 위로 올라갈수록 색이 옅어지는데요. 사실은 위, 아래 모두 밝기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