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능 수준이 깨 높은 동물들 중, 고래는 어느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는 포유류중에서 인간 다음으로 지능이 높다고 합니다. 아이큐가 80정도 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이제 곧 장마가 다가올텐데요 장마전선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장마전선은 북태평양기단 그리고 오호츠크해기단이 만나며 생기는 전선입니다그런에 이 두 기단은 온도 차이가 있지만 서로 습한 성질을 가지고 있죠그래서 6월 말에서 7월말 사이에 이 두 기단이 서로 힘 겨루기를 하면서 정체전선이 만들어지게 됩니다편서풍이 분다하더라도 전선을 그대로 우리나라 위에 위치를 하게 되고 구름이 많이생기고 비도 집중적으로 오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수성은 얼마나 뜨겁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해왕성은 평균기온이 -201도수성은 영하 170도에서 영상 400도 이상까지 올라가며 평균온도는 170도 정도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라니냐로 기온이 올라간다고 하던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반 엘니뇨라고도 하며 엘니뇨와 반대 개념으로 엘니뇨가 ‘남자 아이’라면 라니냐는 ‘여자 아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주로 엘니뇨 현상의 전과 후에 발생하며 적도 무역풍의 세력이 강해져서 서태평양의 해수 온도는 상승하고 동태평양의 해수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엘니뇨 현상과는 반대로 적도 무역풍의 힘이 강해지면서 서태평양의 온수층이 두꺼워지고 동태평양의 온수층은 얇아집니다. 따라서 동태평양 해수의 수온이 평년보다 0.5℃ 낮아지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5개월 이상 지속됩니다. 라니냐 현상이 발생하면 인도네시아와 필리핀과 같은 동남아시아에서는 극심한 장마가 나타나고, 페루 등 남아메리카에서는 가뭄이, 북아메리카에서는 강추위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엘니뇨가 발생했을 때와 반대의 기온 현상을 일으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철새들은 어떻게 방향을 찾아 이동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철새들은 낮에는 태양을 기준으로 이동을 하며, 밤에는 별을 기준으로 이동을 합니다. 어떤 새는 강의 계곡 산 바닷가의 모양과 같이 지형지물을 따라 이동을 하기도 합니다. 특이한 새는 지구의 자장, 편광, 적외선 심지어 미세한 기압의 변화에 반응하기도 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기초대사량이란 정확하게 어떠한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기초대사량은 생명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의 양. 주로 체온 유지, 심장 박동, 호흡 운동, 근육의 긴장 따위에 쓰는 에너지로, 우리나라 성인 남자의 경우 하루 1,400kcal 정도이다.칼로리소모량은 운동한만큼의 칼로리(Kcal)를 표시해줍니다.수영, 줄넘기, 자전거 등 운동할 때 소모되는 칼로리를 수치로 보여주며, 같은 시간을 운동해도 종목에 따라 소비되는 양이 다릅니다. 만보계에 소비되는 칼로리 양을 직접 보면서 할 수 있어 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문득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으로부터 나온 빛이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고 있는 질소·산소 등과 같은 기체 분자와 부딪치면 여러 색깔의 빛으로 분산되는데, 이 때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집니다그래서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 태풍은 왜 여름철에만 발생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 집니다. 수온이 올라간 바다에서 수증기를 받아 태풍이 위로 올라오는 것입니다. 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태풍이 만들어질 때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 태풍이 됩니다. 그리고 그 생명은 바다에서 계속 수증기를 공급받아야 위력을 유지하죠. 우리나라는 8,9월에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수증기 발생량이 많습니다. 그래서 여름에만 태풍이 오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무지개 색깔이 일곱가지인 과학적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를 7가지 색깔로 나눈 사람은 '뉴턴'이였다고해요. 네 그 유명한 '만유인력의 법칙'의 뉴턴 말이죠. 빛의 성질을 연구하던 뉴턴은 어느날 프리즘으로 들어온 빛이 수많은 색으로 퍼져나가는 걸 보게됩니다. 이것이 무지개와 같은 현상입니다. 태양의 빛이 어떤 물질로 인해 빛이 나눠지는 것. 근데 그 빛이 7가지 만은 아닙니다. 아마 100가지도 넘을꺼에요. 어렸을대 프리즘으로 과학실험 해보신분들은 아마 아실듯요. ㅎㅎ 근데 왜 뉴턴은 이 100가지도 넘는 빛을 7개로 분류했을까요? 그건은 문화의 차이라고 할수 있는데요. 유럽에서는 숫자 '7'을 행운의 숫자라고 하죠. 또한 완벽하고 성스럽기까지 하다고 표현합니다. 성경체서도 신이 천지를 7일만에 만들었다고 하고, 고대 하늘에 떠 있는 별중 움직이는 별은 태양,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 7개로 봤데요. 음계도 도,레, 미, 파, 솔, 라, 시의 7개로 나눴구요.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땠을까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은 하늘과 땅을 음과 양으로 큰 두 기운으로 여겼고, 목, 화, 토, 금, 수의 5가지를 5행으로 봤지요. 그래서 무지개도 5색으로 봤다고합니다. 신기하죠.ㅎㅎㅎ 미국의 경우에는 빨주노초파남보의 남색을 파란색의 한 종류로 여겨서요 무지개색이 6색이라고 한데요. 이슬람에서는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4가지 색으로 보구요. 전 이슬람도 아닌데 ㅎㅎㅎ 저도 4색정도로 보이는거 같아요. 독일에서도 무지개는 5색이라고 표현된다네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술을많이 먹은 다음날은 왜 머리가 아픈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알코올 속에는 술을 마신 후 체내에서 분해되는 알코올의 중간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라는 성분이 있다. 우리 몸은 아세트알데히드를 해독하기 위해 혈관을 확장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머릿속 혈관 또한 확장돼 두통을 유발한다. 이 성분에는 독성이 있어 메슥거림과 구토를 유발하기도 한다.
1961971981992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