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날계란을 먹으면 날계란에 기생충이 있을 수 있어 몸에 좋지 않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날계란 속에 기생충보다는, 계란 겉면에 살모넬라균과 같은 세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래서 계란이 정말 깨끗한 상태가 아니라면, 날계란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가 커지고 있다는데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라는 것은 빅뱅으로 생겼다가 팽창을 점점 거듭하면서 점점 늘어나 지금의 모습이 된 것이고 아직도 계속해서 팽창 중이기 때문에 점점 서로의 별들의 위치가 멀어지는 것을 '스펙트럼'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스펙트럼은, 우리와 어떠한 별 간의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했을 때 더 멀어지고 길어지는 운동을 확인 가능한 것을 말하는 겁니다. 그래서 이를 보고 우주가 점점 팽창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별들 간의 사이가 넓어질 수밖에는 없다는 것이죠. 풍선을 불기 전에 찍어둔 점들 사이의 좁은 간격이, 풍선을 불었을 때는 넓은 간격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이치와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자전속도는 엄청나다고 알고 있는데 사람은 왜 그것을 못느끼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우리가 느끼는 원심력은 원운동에서 생각을 해야하니다.그런데 463미터는 직선으로 갈 때의 속력입니다.​원운동할 때의 속도, 즉 각속도를 생각해 봅시다.자전 360도를 24시간동안 도는 각속도는360÷24÷3600초 입니다.이 값은 약 0.004도가 나옵니다.​즉, 우리는 1초에 0.004도를 회전하는 것입니다.10초면 0.04도 100초라고 해도 고작 0.4도 입니다.​사람이 느끼기 굉장히 어려운 미묘한 각도입니다.​ 우리가 느끼는 가속도는 직선운동에서는 속도가 변해야하지요.원운동에서는 항상 방향이 바뀌니깐 속력이 일정하더라도, 방향이 바뀌니, 가속도를 항상 느끼죠.그런데 지구의 자전은 1초에 0.004도만 방향이 바뀌니깐,사실상 직선을 초당 463미터로 등속으로달리고 있는 것과 별반다름없죠.즉 가속도를 느끼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죠.그래서. 우리몸이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가속도를 느끼지 못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이 폭팔할수도 있나요? 그럼 지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도 우주에서는 매우 작은 행성 1개일 뿐입니다. 태양이 폭발하면 가까운 지구에는 영향이 끼칠 수 있지만, 우주 전체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답니다. 지구에는 큰 영향을 끼치겠죠!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하루 중 가장 적절한 수면시간은 몇 시간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과학적으로 많은 수면패턴을 연구한 결과, 사람은 7-8시간 정도를 자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그것도 일정한 시간에 자고 깨는게 좋죠.
화학
화학 이미지
Q.  물이 100도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100도씨를 넘길 수 없답니다. 물은 100도에서 수증기로 변하기 때문이죠. 다만, 물에 불순물이 섞여있다면 그 불순물로 인해 100도씨를 넘길 순 있겠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가을하늘이 높다고 이야기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높게 보이는 것은 공기 중에 먼지가 적어서 낮은 고도에서 빛의 산란이 적기 때문이다.산란은 태양빛이 먼지나 작은 입자에 부딪혀 부서지는 것으로 하늘의 파란색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하늘의 색이 파랗게 보이는 것은 아주 높은 곳의 미세한 공기 분자에서 태양빛이 산란하기 때문이다. 만약 산란이 없다면 하늘은 검게 보였을 것이다. 우주 공간이 항상 검은색을 띠고 있는 것은 산란될 공기가 없기 때문이다. 비행기의 고도가 점점 높아질수록 창밖으로 보이는 하늘이 어두운 색으로 바뀌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공기 중에 입자가 큰 먼지가 많으면 하늘이 뿌옇게 보이는 것도 산란 때문이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손난로 똑딱하면 뜨거워지는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이 똑딱이형 핫팩 안에 들어있는 것은 바로 '아세트산나트륨' 이라는 물질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아세트산나트륨 '과포화용액'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아세트산나트륨 용액에 '과다하게' 많은 물질이 들어있다는 뜻인데요. 그래서 용액 상태가 굉장히 불안정하여 작은 자극에도 반응하여 고체화된다고 합니다. 이 자극을 주는 것이 바로 금속판, '똑딱이' 인 것입니다. 물을 얼리면 액체가 고체가 되면서 열을 방출시키듯 아세트산나트륨 용액도 고체가 되는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여 발열의 효과를 내는 것입니다. 이렇게 고체가 된 아세트산나트륨 용액에 열을 가하면 다시 불안정한 아세트산나트륨 과포화용액으로 변하게 되고 다시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무한정까지 사용은 어렵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물이 얼어 얼음이 되면 고체로 변하면 부피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진답니다. 수소결합 때문에 육각형 구조를 만들기 때문에 커지죠. 대부분의 물질은 원래 고체가 되면 작어진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길거리 아스팔트는 석유 찌꺼기로 만든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원유를 분별하여 기름으로 뽑고 남은 슬러지 등의 찌꺼기가 아스팔트의 주 원료랍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