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11월 18일 작성 됨
Q.
드라이아이스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이며 만지면 왜 화상을 입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된 형태로 어는점인 -78도 이상으로 낮춘다면 만들 수 있답니다. 다만, 일상에선 만들기 어렵죠. 기체에서 만들어야하다보니.
화학
2022년 11월 18일 작성 됨
Q.
컵라면 용기에서 환경호르몬이 나온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일부 나오긴 합니다. 하지만, 인체에 영향을 크게 주지 않는 선에서 만드려고 노력중이죠. 하지만, 아예 안나안다곤 할 수 없답니다.. 최소화 하시는게 좋겠죠!
화학
2022년 11월 18일 작성 됨
Q.
텀블러 뚜껑열때 왜 뽕 소리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커피를 담으시면 그럴거랍니다. 내부의 액체가 수증기가 되어 안에 증기압이 높아져있기 때문이랍니다.
화학
2022년 11월 18일 작성 됨
Q.
수소자동차의 활성화에 걸림돌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주요 핵심사항은 인프라구축입니다. 도시가스 배관들 처럼, 배관이 깔려있지 않은 상황. 수소를 운반하는 위험성 등 수소충전소를 짓고 안전하게 관리하는게 핵심이 되겠죠!
전기·전자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귀말고 다른 곳으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몸에 귀까지 소리가 전달되어 그랬던 거랍니다. 소리는 매질을 통해서 움직이는데 공기 등이 대표적이죠. 우리 몸 자체도 매질이 되어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답니다. 다만, 공기보다는 덜 전달되죠. 그래서 몸에 연결되어도 소리가 들린답니다.우리몸은 소리는 귀를 통해서만 들을 수 있답니다.
토목공학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나무 1톤과 철 1톤 중 왜 나무 1톤이 더 무거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각각의 1톤이 같다면 무게는 같은거랍니다. 무게는 질량이기 때문에. 부피와 밀도는 다를 수 있지만, 무게는 같으면 같은 값이랍니다.
토목공학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차량 바퀴가 올록볼록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마찰력을 늘려서, 덜 미끄럽게 하기 위함이 있답니다. 타이어가 겨울철, 물 등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죠!
전기·전자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적외선 체온계의 원리는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적외선 온도계는 물질이 방출하는 적외선 복사에너지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모든 물질은 가시광선의 붉은색보다 파장이 긴 영역의 적외선(열선)을 복사 방출하기 때문이다. 이 온도계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의 세기를 열로 변환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하며 이 온도 변화를 전자 신호로 바꾸어 증폭시킨 후 온도를 읽는다. 이 온도계의 장점은 직접 접촉하기 힘든 물체의 온도를 접촉하지 않은 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있고, 물질 접촉 온도계처럼 열평형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온도 감지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 이 온도계는 병이나 유리 섬유를 제조하는 유리 산업, 철강산업, 플라스틱 제조 산업 분야에서 고온의 물질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태양과 같은 고온의 별 온도는 어떻게 측정할까? 물질은 특정 온도에서 특정한 파장의 색깔 빛을 강하게 방출하기 때문에파장에 따른 별의 색깔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그러므로 노란색의 태양 표면 온도는 약 6000℃인 것이다.
전기·전자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취심시에 머리맡에 핸드폰을 두고 자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안좋다라고 딱 말씀드리긴 어렵습니다. 전자파가 몸에 안좋다는 연구결과는 많지만,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사실은 없습니다. 다만, 예방해서 나쁠건없죠.. 굳이 좋은건 아닌게 이미 보여지니 멀리 두고 주무시는게 좋으실듯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17일 작성 됨
Q.
나무의 나이태는 어떻게 생기는 겁니까?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테는 일 년에 한 개씩 생기기 때문에 나이테를 보면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어요. 나이테가 이렇게 일 년에 한 개씩 생기는 것은 해마다 반복되는 계절 변화와 관련이 있지요.나무는 봄, 여름에 쑥쑥 자라서 키가 커지고 둘레도 더 굵어져요. 봄, 여름에는 낮이 길어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있고 수분도 필요한 만큼 얻을 수 있어요. 그래서 나무를 구성하는 세포가 빠르게 커지지요. 이 때 만들어진 세포는 크고 세포벽도 얇아서 부드럽고 연한 색을 띠지요.하지만 가을과 겨울에는 달라요. 낮이 짧아져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없고 수분도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요. 그래서 나무는 더디 자라요. 더디 자라는 나무는 세포의 크기가 작고 세포벽도 두꺼워요. 또한 두꺼운 세포벽은 단단하고 색깔도 진하지요. 이 두껍고 진한 세포벽이 바로 나이테랍니다. 추운 지방에서 자라는 나무일수록 나이테가 더 뚜렷하게 나타나요.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