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화학
화학 이미지
Q.  드라이아이스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이며 만지면 왜 화상을 입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된 형태로 어는점인 -78도 이상으로 낮춘다면 만들 수 있답니다. 다만, 일상에선 만들기 어렵죠. 기체에서 만들어야하다보니.
화학
화학 이미지
Q.  컵라면 용기에서 환경호르몬이 나온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일부 나오긴 합니다. 하지만, 인체에 영향을 크게 주지 않는 선에서 만드려고 노력중이죠. 하지만, 아예 안나안다곤 할 수 없답니다.. 최소화 하시는게 좋겠죠!
화학
화학 이미지
Q.  텀블러 뚜껑열때 왜 뽕 소리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 커피를 담으시면 그럴거랍니다. 내부의 액체가 수증기가 되어 안에 증기압이 높아져있기 때문이랍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수소자동차의 활성화에 걸림돌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주요 핵심사항은 인프라구축입니다. 도시가스 배관들 처럼, 배관이 깔려있지 않은 상황. 수소를 운반하는 위험성 등 수소충전소를 짓고 안전하게 관리하는게 핵심이 되겠죠!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귀말고 다른 곳으로도 소리를 들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몸에 귀까지 소리가 전달되어 그랬던 거랍니다. 소리는 매질을 통해서 움직이는데 공기 등이 대표적이죠. 우리 몸 자체도 매질이 되어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답니다. 다만, 공기보다는 덜 전달되죠. 그래서 몸에 연결되어도 소리가 들린답니다.우리몸은 소리는 귀를 통해서만 들을 수 있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나무 1톤과 철 1톤 중 왜 나무 1톤이 더 무거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각각의 1톤이 같다면 무게는 같은거랍니다. 무게는 질량이기 때문에. 부피와 밀도는 다를 수 있지만, 무게는 같으면 같은 값이랍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차량 바퀴가 올록볼록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마찰력을 늘려서, 덜 미끄럽게 하기 위함이 있답니다. 타이어가 겨울철, 물 등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죠!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적외선 체온계의 원리는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적외선 온도계는 물질이 방출하는 적외선 복사에너지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모든 물질은 가시광선의 붉은색보다 파장이 긴 영역의 적외선(열선)을 복사 방출하기 때문이다. 이 온도계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의 세기를 열로 변환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하며 이 온도 변화를 전자 신호로 바꾸어 증폭시킨 후 온도를 읽는다. 이 온도계의 장점은 직접 접촉하기 힘든 물체의 온도를 접촉하지 않은 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있고, 물질 접촉 온도계처럼 열평형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온도 감지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 이 온도계는 병이나 유리 섬유를 제조하는 유리 산업, 철강산업, 플라스틱 제조 산업 분야에서 고온의 물질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태양과 같은 고온의 별 온도는 어떻게 측정할까? 물질은 특정 온도에서 특정한 파장의 색깔 빛을 강하게 방출하기 때문에파장에 따른 별의 색깔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그러므로 노란색의 태양 표면 온도는 약 6000℃인 것이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취심시에 머리맡에 핸드폰을 두고 자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안좋다라고 딱 말씀드리긴 어렵습니다. 전자파가 몸에 안좋다는 연구결과는 많지만,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사실은 없습니다. 다만, 예방해서 나쁠건없죠.. 굳이 좋은건 아닌게 이미 보여지니 멀리 두고 주무시는게 좋으실듯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무의 나이태는 어떻게 생기는 겁니까?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테는 일 년에 한 개씩 생기기 때문에 나이테를 보면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어요. 나이테가 이렇게 일 년에 한 개씩 생기는 것은 해마다 반복되는 계절 변화와 관련이 있지요.나무는 봄, 여름에 쑥쑥 자라서 키가 커지고 둘레도 더 굵어져요. 봄, 여름에는 낮이 길어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있고 수분도 필요한 만큼 얻을 수 있어요. 그래서 나무를 구성하는 세포가 빠르게 커지지요. 이 때 만들어진 세포는 크고 세포벽도 얇아서 부드럽고 연한 색을 띠지요.하지만 가을과 겨울에는 달라요. 낮이 짧아져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없고 수분도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요. 그래서 나무는 더디 자라요. 더디 자라는 나무는 세포의 크기가 작고 세포벽도 두꺼워요. 또한 두꺼운 세포벽은 단단하고 색깔도 진하지요. 이 두껍고 진한 세포벽이 바로 나이테랍니다. 추운 지방에서 자라는 나무일수록 나이테가 더 뚜렷하게 나타나요.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