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4월 28일 작성 됨
Q.
소심한성격의 아이를 활발한성격으로 바꿀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가 아이의 소심함을 싫어해서 과도하게 반응할 때 아이는 더욱 위축됩니다. 소심하다고 걱정하는 부모의 마음이 아이를 더 소심하게 만드는 것이죠. 아이는 세상과 부딪치면서 많은 스트레스를 겪게 됩니다. 그리고 그런 자신의 곁을 든든한 부모가 지켜주기를 바랍니다.그런데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가 겁을 먹거나 불안해하면 부정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대뜸 용기를 내라며 일방적인 방향을 강요합니다. 아이는 어쩔 수 없이 부모의 의견을 따르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이 정상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되고, 정말로 소심한 아이가 되어버립니다.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아이가 능동적으로 행동하기는 어렵습니다.소심한 아이에게는 소심함을 이겨낼 수 있는 시간을 주셔야 합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어주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해야 하며 "어른인 나도 때로는 겁을 먹는단다"라는 식으로 소심함은 자연스러운 반응임을 말해주세요그리고 부모가 두려움을 이겨낸 경험을 아이에게 반복적으로 이야기해 주면 좋습니다. "너의 경험과 나의 경험이 꼭 같지는 않겠지만..."라고 하며 부모의 경험을 이야기해 주세요.그리고 시간이 날때 가정에서 소리지르기, 노래 크게 부르기 등 큰 소리로 에너지를 발산하기 놀이를 자주 해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소심한 순간 이 순간의 기분을 잘 기억해서 당당해 지는 연습을 시켜 보세요. 두려움을 극복하는 순간 자신감이 생기며 좀 더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8일 작성 됨
Q.
부모 모르게 숨어서 욕하는 아이는 어찌 지도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욕을 하는 것은 성장과정 중의 하나이므로 너무 크게 염려하지 마시고 올바르게 자기 의사를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면 됩니다. 아이가 처음으로 욕을 할 때는 '화나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라리 보다는 '장난 삼아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의도없이 장난으로 하는 욕이라고 발견 즉시 바로 잡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바쁘다고 "다음에 이야기하자" 하고 그 순간을 넘기면 아이는 욕을 해도 괜찮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욕을 하는 것은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을 분명히 일깨워 주셔야 합니다. 만약 화가 난 자신의 감정을 욕이나 위협적인 말로 상대방을 화나게 하려했다면 이런 경우는 단호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큰 목소리로 야단을 치거나 화를 내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단호하고 차분하게 지도하셔야 합니다. 화가 날때마다 욕을 하면 감정을 조절하는 법도 배우지 못할 뿐아니라 어느 순간 습관적으로 굳어져 시도 때도 없이 욕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가 자신의 화나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욕을 사용하였다면 대화를 통해서 욕을 한 이유, 욕 했을 때의 기분, 욕을 들은 상대의 기분 등을 이야기 하고 화가 났을 때 자신의 마음을 말로 표현해야지 상대방이 알 수 있으며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8일 작성 됨
Q.
아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할 때 부모님을 절대 같이 화를 내거나 흥분하시면 안됩니다. 차분하고 단호하며 일관된 태도로 너가 멈추고 진정할 때까지 기다릴꺼야 라고 말한 뒤 한 걸음 물러나서 기다려 줍니다. 무시하거나 방치하시지 마세요. 아이를 바라고 있되 개입이나 아무 말도 하지 말고 기다려 주세요. 한시간이 될 수도 있고 두시간이 될 수 도 있지만 끈기를 가지고 아이기 화를 누그러뜨리고 대화할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아이의 화가 진정이 되고 나면 그 때 차분하고 단호하게 설명하셔야 합니다. 화를 낸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으며 화가 났을 때는 말로 이야기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설명해 줍니다. 그리고 아이의 화나는 행동으로 인해 가족들이 느끼는 기분을 말해 줍니다. 앞으로 이런 행동을 반복하지 않기로 약속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화나는 기분을 말로 표현했을 때 많이 칭찬해 줍니다. 이런 패턴을 여러번 반복하면서 서서히 화를 주체하지 못하는 행동들을 줄여 나가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4월 27일 작성 됨
Q.
6개월차 아기 아직 뒤집기를 안하는데 난중에 뒤집기부터 일어서기까지 한번에 하는 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5~6 개월에 뒤집기를 하고 늦으면 7~ 8개월에 뒤집기를 하기도 합니다. 아이마다 발달 속도가 다르니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어른들 말씀대로 뒤집기와 일어서기를 동시에 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발달 속도가 다른 아이보다 늦다고 우리 아이가 혹시 다른 아이들에 비해 뒤쳐지지 않을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마다 키가 크는 속도가 다르듯 발달 속도가 다를 뿐입니 너무 염려하지 말고 기다리시면 곧 뒤집기를 할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7일 작성 됨
Q.
성장발달이나 근육발달이 느린 아기는 기다려주워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자극이나 훈련을 통해 발달시켜 줘야 합니다. 발달 속도가 더딘 아이를 그대로 두면 발달 차이가 더 많이 나므로 아이에게 무리가 되지 않는 선에서 꾸준히 훈련시켜 주고 발달을 도와줘야 합니다.
341
342
343
344
3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