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3년 4월 27일 작성 됨
Q.
거짓말을 자주 하는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거짓말을 알게 되엇을 경우, 체벌하게 되면 아이는 불안감을 느껴 부모에게 혼나지 않기 위해 또 거짓말을 하게 되거나 반항의 형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체벌은 비효과적이며 또 다른 거짓말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아이에게 지금 본인이 한 행동이 왜 잘못인지 이러한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와 같은 명확한 이유와 결과를 함께 설명하는 훈육 방식이 바람직합니다. 아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고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셔야 합니다. 아이 스스로 잘못된 행동임을 깨닫고 죄책감 혹은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면 왜 그렇게 느끼는지,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에 대해 차분히 이야기를 나눠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부모님들은 항상 자녀에게 약속이나 규칙을 지키는 본보기가 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서 아이에게 거짓말을 하지 말자는 약속을 반드시 지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자신감이 없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성격이 겁이 많거나 소심한 아이들은 부모의 큰 목소리에 쉽게 기가 죽고 자신감을 잃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 앞에서 말 하는 것이 조심스럽고 자신없어 합니다. 가정에서 작은 일에도 칭찬을 아끼지 마시고 크게 칭찬해 주시고 기를 많이 살려 주셔야 합니다. 가족들 앞에서 자기 의견을 말할 기회를 많이 주시고 항상 경청해서 들어주신 후 칭찬을 많이 해 주세요.그리고 작은 일부터 시작해서 스스로 도전해서 해결하는 일을 많이 시켜 주셔서 성취감을 많이 느껴 자신감을 갖도록 해 주세요.부모님과 함께 다른 사람에게 말을 거는 연습도 역할극으로 많이 해 주시면 좋습니다.항상 칭찬과 격려를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놀이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손가락 소근육이 발달된 여아 놀이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종이 접기. 아이클레이.작은 크기 레고 조립. 큰 퍼즐 작은 퍼즐 완성하기 . 앃기 나무 놀이 등이 소근육 발달에 좋은 놀이 입니다.
유아교육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여자아이가 말을 하면서 손톱을 자꾸 물어 뜯는데 어떤 심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손톱을 물어 뜯는 행위는 예민하거나 심리적으로 불안할 때 나타나는 행위 입니다. 손톱을 물어 뜯을 대 아이에게 혼을 내면 안됩니다. 아이에게 손톱 밑에는 세균이 많고 이빨도 안 좋아질 수 있다는 등 손톱뜯는 행동이 찾아오면 안 좋은 점을 이해시켜 주세요. 그리고 손톱을 뜯지 않는 날에는 충분한 관심, 사랑으로 아이에게 칭찬을 듬뿍 해 주세요. 손톱을 뜯을 때는 손을 활용한 놀이를 하거나 다른 곳에 관심이 생길 수 있도록 유도를 해 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손톱에 바르는 약이나 장갑 등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고 일주일 동안 손톱을 뜯지 않으면 선물을 주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손톱을 물어 뜯는 습관을 없애도록 해 주세요. 이 습관은 어른이 되어도 지속될 수 있으니 아이와 대화를 통해 습관이 개선되기를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첫째가 둘째 행동을 자꾸 따라합니다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이 동생이 어리다 보니 더욱 관심과 손길이 가게 됩니다. 첫째 아이는 자신이 받던 부모의 사랑과 관심이 동생에게 뺏겼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동생처럼 행동을 하면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자신에게 올 수 있다고 생각하여 동생처럼 행동하는 퇴행이 생깁니다. 첫째 아이들에게 많이 보이는 행동입니다. 부모님께서 첫째 아이의 퇴행성 행동에 " 다 큰 아이가 왜 그러니?" 라고 야단치시면 안됩니다. 얼마전 까지는 첫째 아이도 아기였는데 갑자기 큰 아이로 취급을 받게 되어 아이는 몹시 혼란스러운 상태입니다. 부모님께서는 첫째 아이에게 "둘째는 아직 말도 잘 못하는데 너는 말을 또박또박 잘 해서 정말 대견하구나." " 둘째는 스스로 밥을 잘 못 먹어 엄마가 힘이 드는데 너는 스스로 밥도 잘 먹고 엄마를 도와줘서 정말 고맙고 큰 힘이 된단다." 와 같이 첫째를 인정해 주는 말로 칭찬을 많이 해 주세요.그리고 첫째 아이에게 동생이 경쟁자가 아닌 돌봐야 되는 존재임을 알 수 있고 첫째 아이와 육아를 같이 해 보세요. 예를 들면 " 동생 기저귀를 가져다 줄래?" " 동생 기저귀를 네가 한번 갈아보렴" " 동생 분유를 한번 먹여보렴" 과 같이 동생 육아를 일부 같이 한다면 동생이 경쟁자가 아닌 자신이 돌봐줘야 하는 존재로 인식을 하게 되고 첫째 아이는 형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동생을 따라하는 퇴행성 행동이 줄어들게 되며 형처럼 행동할 때 더욱 많이 칭찬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46
347
348
349
3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