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가 코로나 인데 다른자녀는 학교보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첫째 아이는 자가검사 후 음성이 나오면 등교 시켜도 됩니다. 가급적 첫째 아이와 둘째 아이를 분리 시켜서 감염이 되지 않도록 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첫째 아이는 자가 검사 양성이 나오면 학교에 연락 후 병원에 가서 신속항원 검사를 받고 치료하시면 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초등학생 아이가 교우관계가 좋지 않네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부모님께서 많이 속상하시겠지만 이럴 때일수록 이성적으로 행동하셔야 합니다. 일단 내 아이의 이야기만 들어서는 안됩니다. 조금 더 객관화하여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부모님이 아이들에게 직접 나서면 절대 안되고 학교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내 아이에게는 문제가 없는지, 선생님이 바라보는 시선에서 내 아이와 다른 친구들과의 관계형성에 대해 상담을 하시고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든 어른이든 모두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야기하게 되어 있습니다. 내 아이에게 편향된 시선으로 문제를 해결하게 되면 부모님 속만 상하고 장기적으로 좋은 결과를 초래하기 어렵습니다. 이번 기회에 내 아이의 교우관계에 문제는 없는지, 사회성에는 문제가 없는지 점검한다고 생각하시고 담임 선생님과 상담해 보셔서 담임 선생님을 통해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동생에게 질투가 심해요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동생것을 뺏고 동생이 하는 것을 따라하거나 동생처럼 행동하는 것은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입니다. 동생이 태어남과 동시에 집안의 모든 관심이 동생에게 집중되고 자신은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어 뒷전으로 물러나는 느낌이 들며 주위 사람들이 갑자기 "큰 아이"라고 부르며 엄격하게 대하기 시작합니다. 첫째아이는 이 모든 것이 견딜수 없는 상처로 남습니다. 첫째아이 에게 동생은 엄마의 사랑과 관심, 장난감과 먹을 것을 빼앗아가는 경쟁자이자 위협자로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첫째 아이에게 늘 칭찬해 주세요. 예를 들면 "동생은 어려서 젖병밖에 물지 못하는데 너는 스스로 우유도 마시고 스스로 밥도 먹고 정말 훌륭하구나. 네 동생도 형처럼 스스로 밥을 잘 먹으면 좋겠다. 아빠는 네가 정말 자랑스러워" 라며 동생보다 성숙한 행동에 대해 칭찬을 많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도 동생 돌보기에 동참을 시키세요. 경쟁자가 아니라 동생을 돌봐야 하는 존재로 느끼게 해 주세요. " 동생이 너처럼 잘하면 좋겠어. 동생이 아빠를 너무 힘들게 하는구나. 동생 돌보는 것을 네가 좀 도와줄래?" 와 같이 동생 돌보기에 참여시켜 주세요. 동생 물건 챙겨주기, 기저귀 가져오기 등..첫째 아이로 하여금 뿌듯함을 느끼게 하면서 동생을 돌보는 역할을 하게 해 보세요.그리고 동생과 형이 싸우게 되었을 때는 절대 두아이를 같이 혼내지 않고 먼저 분리시킨 후 각각 이야기를 나눠야 합니다. 동생에게 사랑이 다 빼앗겨 지금 마음이 힘든 첫째의 마음을 잘 이해해 주시고 헤아려 경쟁자가 아닌 동생을 잘 돌봐주는 형의 모습으로 성장시키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기 성교육은 언제부터 하면 좋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성교육에는 적정시기가 없습니다. 아기 부터 여든살까지 모두 성교육이 필요합니다. 나이에 관계 없이 항상 필요한데 내 아이의 연령에 맞는 수준의 성교육을 하면 됩니다. 유아시절에는 성교육관련 동화책으로 접근을 해 주면 좋습니다. 내 몸의 소중함, 친구에게 하지 말아야 할 행동 등 나이에 맞는 성교육을 해주면 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27개월 애기 한테 훈육해도 상관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18개월 이후부터는 자의식이 강해지고 고집이 생겨 자신이 원하는 것이 좌절되었을 때 화를 내고 온몸으로 떼를 쓰기 시작합니다. 순한 아이든 드센 아이든 간에 모두 일단 고집과 떼로 자아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떼쓰는 행동이 나타나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자기 통제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인 성향이 강한 경우, 떼를 쓰면 뭐든지 해결되었던 경험이 있는 경우, 부모님의 사랑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고 느낄때 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부모님이 해달라고 하면 다해주는 버릇을 들여놨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타당한 이유가 있는지 이유를 먼저 들어봅니다. 그리고 떼 쓴다고 무조건 들어주시는 것이 아니라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 주신후 단호하고 일관되게 들어주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떼를 쓰지않고 참는 모습을 보일 때는 "가지고 싶은데도 잘 참는구나, 그런 모습을 보니 자랑스럽다 " 라고 칭찬해 주거나 " 그 때 가지고 싶은 걸 못 가져서 속상했지? 엄마도 네가 속상해 하는걸 보고 너만큼 속상했어"라고 공감해 주세요.
3463473483493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