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개월 애기 한테 훈육해도 상관없을까요?
27개월 아기가 있는데 27개월때도 훈육해도 상관없을까요?
요즘에 떼 쓰는게 많아져서 스트레스네요
좋은정보 있으시면 공유 부탁 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생후 18개월 이후부터는 자의식이 강해지고 고집이 생겨 자신이 원하는 것이 좌절되었을 때 화를 내고 온몸으로 떼를 쓰기 시작합니다. 순한 아이든 드센 아이든 간에 모두 일단 고집과 떼로 자아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떼쓰는 행동이 나타나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자기 통제력이 부족하고 충동적인 성향이 강한 경우, 떼를 쓰면 뭐든지 해결되었던 경험이 있는 경우, 부모님의 사랑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고 느낄때 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부모님이 해달라고 하면 다해주는 버릇을 들여놨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타당한 이유가 있는지 이유를 먼저 들어봅니다. 그리고 떼 쓴다고 무조건 들어주시는 것이 아니라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 주신후 단호하고 일관되게 들어주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떼를 쓰지않고 참는 모습을 보일 때는 "가지고 싶은데도 잘 참는구나, 그런 모습을 보니 자랑스럽다 " 라고 칭찬해 주거나 " 그 때 가지고 싶은 걸 못 가져서 속상했지? 엄마도 네가 속상해 하는걸 보고 너만큼 속상했어"라고 공감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느 정도 부모님의 말을 인자하고 행동을 할 수 있는 만 18개월 이후부터는 훈육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훈육을 할 때는 눈을 마주치고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한 후 훈육이 끝나고 나서는 아이를 안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아이들 집에서 떼부리는 경우에는어렵지 않게 부모님의 방식으로
훈육을 할수 있지만 정말 어려운건 마트에서, 사람많은 곳에서
소리지르고 떼쓰는 아이로 변신하면 정말 당황스럽고 모든이들의
집중을 받게 되는데요. 이럴때일수록 아이의 말을 다 들어주시기 보단
일관되게 행동해주시고 훈육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단호한 어조와 표정으로
훈육을 하여 아이가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7개월 아이의 훈육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으신듯합니다
이시기훈육은 어려운단어를 이해 하기 어렵기에 단결하게 말하고 단호하게 말해주는것이 좋을 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말을 알아듣는 시기가 되면 훈육을 통해 잘못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울거나 떼쓰는 것에 대해서는 때로는 단호함을 보이는 것이 효과적이고
가급적 말로써 표현 하도록 유도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7개월 아기 이면 말귀는 다 알아듣는 시기 이기 때문에 훈육을 하셔도 됩니다.
아이가 떼를 부린다면 단호하게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떼를 부리면 안돼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시거나 눈빛으로 말하여 주도록 하세요,
아이가 떼를 부리는 이유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아서 이거나 엄마가 자신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아서 떼를 부릴 수도 있습니다. 우선은 아이의 감정과 마음도 먼저 헤아려 주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는 자신의 생각과 판단하는데 있어서 미숙한 존재 이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이 개선될 때 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말하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