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전문가입니다.

이진광 전문가
등단시인
역사
역사 이미지
Q.  붕당정치 시기에 예송논쟁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659년(현종 즉위)에 일어난 1차 예송 논쟁인 기해예송(己亥禮訟)은 효종의 죽음으로 인해 효종의 계모인 장렬왕후가 기년복(朞年服)을 입을 것인가, 3년복을 입을 것인가를 두고 벌인 논쟁이었다.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르면 장자(長子)가 죽으면, 그 어머니는 3년복(만2년)을 입고, 차자(次子) 이하 아들이 죽으면 기년복(1년)을 입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서인은 효종이 소현세자의 동생이므로 기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남인은 국왕의 지위를 갖고 있는 효종은 일반 백성의 예(禮)와는 다르게 3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다.예송은 상복을 입는 기간을 둘러싸고 벌인 서인과 남인의 논쟁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상복을 두고 벌인 공리공담(空理空談)이 아니었으며, 당시 지배 이데올로기인 성리학, 효종의 정통성, 왕권과 신권의 관계 등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서 오는 중대한 정치 현안이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메뚜기란 말의 유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뫼'(산)+'뛰기'로 산에서 뛰어다닌다는 의미이며, 흔히 말하는 '메뚜기'는 논에 사는 벼메뚜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사또가 일하는 관청의 이방과 같은 하급관리직도 녹을 받았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포졸을 제외하고는 특별 휴가 포상 그리고 월급도 좀 높았다고 합니다. 포졸은 거의 노비와 비슷한 수준 ㅠ
미술
미술 이미지
Q.  조선시대 미술의 발달과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후기 풍속화의 대가로 평가되는 김홍도의 미술 성장 과정과 스승이었던 강세황의 교육적 역할을 탐구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 결과, 김홍도의 미술적 성장 과정은 유년기의 미술영재성의 단계, 청소년기의 미술전문성의 단계, 청년기의 미술탁월성의 단계, 장년기의 미술창의성의 단계로 발달되어 간 것으로 분석된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북유럽 신화와 남유럽 신화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북유럽 남유럽 신화 차이남유럽(그리스 신화) 는 불사신이고 신들이 강하고 인관가 경계 관계 등이 뚜렷하다.북유럽 신화 신은 나약하고 결핍하고 부족하고 모순된 면이 있으므로 완벽하지 못한 인간과 많이 닮았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관동팔경이나 단양팔경 등 팔경이 붙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팔경(八景)은 전국에 있는 각 지역마다 빼어난 경치를 가진 곳 8곳을 통칭하는 말이다. 경치가 좋은 곳이니 팔등이라 뒤에 따로 붙은 거 같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조선시대에도 자화상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왕보다는 신하들 양반들 위주로 화가를 고용해서 개인적으로 자화상을 소장을 많이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들어선뒤 다시 고려왕조로 되돌리려는 움직임은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러한 일이 크게 성행했거나 커다란 조심이 있다면 역사에 기록이 남아있어야 하는데 남아있는 기록이 없네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근현대사에서 '대한독립의군부'가 했던 일들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립의군부의 활동 목표는 일본의 내각 총리대신과 조선총독 및 주요 관리들에게 국권반환 요구서를 보내 한국 강점의 부당함을 깨우치고, 대규모 의병전쟁을 준비하는 것이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예이츠의 관료제적 민주주의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Douglas Yates는 ‘관료제적 민주주의(Bureaucratic Democracy, 1982)'라는 논문에서 정부관료제가 민주주의라는 정치적 가치와 능률이라는 행정적 가치를 조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는 제도개혁(institutional reform)을 통하여 관료제에 대한 통제전략을 잘 수립하기만 하면 양자의 조화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D. Yates가 주장한 관료제와 민주주의를 조화시키기 위한 구체적 제도개혁방안은 다음과 같다.① 행정부의 분산된 의사결정 구조에 맞서 최고 집행자의 조정권한 증대② 분권화된 다원적 민주주의의 약점극복을 위해 정부의 기획능력 향상③ 집권적·경쟁적 예산과정의 채택으로 분할된 관료제들간의 갈등을 해결하고 소각료회의(minicabinets) 설치④ 각 부처내에 장관이 주도하는 갈등조정장치 설치⑤ 각 정부부처의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대민서비스처(office of public service) 설치⑥ 정책집행 권한을 분권화하되 각 정부들이 추진하는 정책간 연대성을 위하여 중앙정부의 통제력과 국가적 목표설정기능을 증진⑦ 현장 공무원들로 구성된 지역서비스 각료회의(Service Cabinet) 설치⑧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지역서비스 센터의 건설로 지역 서비스 각료회의와 연합하여 지역문제 해결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