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치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헌 전문가입니다.

이치헌 전문가
금풍건설이앤씨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터널공사를 진행할때 여굴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여굴의 문제점과 대책은 어떻게 되나요?
여굴은 여유굴착이라는 말인데 터널 공사를 하다보면 불가피하게 발생할수 밖에 없습니다.여굴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측량, 점보드릴의 정확한 천공각도, 장약시 과장약 금지등의 관리를 통해서 줄일수있지만 암반의 상태에 따라 나는 여굴은 사람이 통제하기가 어렵습니다.여굴에 대한 안전관리는 여굴부에 과다한 숏크리트 타설로 숏크리크 덩어리가 낙반되는 사고가 심심치 않게 일어나는데 이에 대한 안전조치가 필요해 보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최근 싱크홀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싱크홀의 전조 증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땅속이라는것은 아무도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전조증상이라고 하여 다 맞는것은 아닌것 같습니다.일단은 아스팔트의 크랙이 심하게 가있다거나 소폭의 땅꺼짐이 있다면 싱크홀이라 의심해볼수는 있는데 아직까지 지반조사 장비로 정확히 판독하는 기술이 미흡한것은 사실입니다.제일 정확한 것은 천공장비로 조사하는것인데 도로체증과 민원 때문에 쉬운일은 아닌것 같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독일에서..바그다드연결철도 만들었나요 ??
돈이 모자라서 진행이 안 된 것은 맞지만, 그 이유는 다양합니다.단순히 돈이 부족해서 건설이 중단된 것은 아니고, 전쟁, 경쟁, 지리적 어려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습니다.결론적으로 독일 바그다드 철도는 당시 열강들의 경쟁과 전쟁, 그리고 지리적 어려움 등 다양한 요인이 맞물리면서 완공되지 못한 미완의 프로젝트로 남게 되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토질역학에서 흙의 전단강도와 지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
흙의 전단강도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에는 4가지 정도 있습니다.1.직접전단시험: 흙 시료를 두 개의 상자에 넣고, 한쪽 상자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쪽 상자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흙의 전단 저항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간단하고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흙의 3차원적인 거동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3축압축시험: 흙 시료를 원통형 공간에 넣고, 축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측압을 가하여 흙의 파괴를 유도하는 시험입니다. 흙의 다양한 강도 특성을 분석할 수 있지만, 시험 장비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일축압축시험: 3축압축시험의 간략화된 형태로, 측압 없이 축 방향으로만 압축하여 흙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4. 원위치 시험: 현장에서 직접 흙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표준관 압입 시험, 베인 시험 등이 있습니다. 실제 지반 조건에서의 강도를 직접 평가할 수 있지만, 시험 장비와 기술이 필요합니다.이러한 시험들을 뒷받침해주는 이론은 모어-쿨롱의 파괴규쥰입니다.모어-쿨롱 파괴 규준은 흙의 파괴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이론입니다. 흙의 전단강도는 응력 상태와 관련된 일정한 관계를 따른다는 가정을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글루램이라는 목재는 어떤 나무로 만드는건가요?
글루램(Glulam)은 여러 개의 목재를 긴 방향으로 붙여 만든 구조용 집성재입니다. 즉, 하나의 통나무를 긴 기둥이나 보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목재를 접착제로 붙여 더욱 긴 길이와 강도를 갖춘 목재를 만드는 것이죠.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과거 문명에서 발견된 석조 건축물은 현대 기술 없이도 어떻게 그렇게 정교하게 제작 할 수 있었을까요?
옛날에는 현대처럼 복잡한 기계가 없었지만, 옛 사람들은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정교한 작업을 해냈습니다. 지렛대, 도르래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거운 돌을 옮기고, 쐐기 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맞춰 쌓았습니다.옛날 건축물의 안정적인 구조는 현대 구조 공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아치, 돔 등 옛 건축에서 사용된 구조는 현대 건축물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지반이 낮은곳에서의 흙메우기도 고려 하나요?
모든 건물이나 구조물을 설치할때 지반의 높이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측하지 못할정도의 폭우나 하천의 범람등의 요인을 미리 예견하여 흙을 돋구어 지반 자체를 높여 놓으면 미래의 불안한 감을 조금이나마 대비할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아파트는 어떻게 그 하중을 다버티나요?
모든 고층건물이 안전하게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기초공사가 제일 중요합니다.아파트도 마찬가지로 기초공사에 PHC 파일을 암반까지 박아서 건물의 침하와 전도되지 않게 보강 공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공사현장에서 이것은 무엇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라바콘이라는 제품입니다. 교통을 통제할때 운전자들에게 주의를 주어 피해서 통행하라고 할때 사용되는 물건입니다. 고무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가벼워서 교통 통제 목적에 쉽게 사용되어집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콘크리트용 모래 시험을 할때 시료는 왜 500g 인가요?
1. 시험의 정확성과 재현성 확보: * 대표성 확보: 500g은 일반적으로 시험에 필요한 충분한 양이면서, 시료 전체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양으로 간주됩니다. 너무 적은 양은 오차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고, 너무 많은 양은 불필요한 작업량을 증가시킵니다. * 시험 방법의 표준화: 다양한 시험 방법에서 500g을 기준으로 시험 절차가 표준화되어 있어, 다른 연구자나 기관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합니다.2. 시험 장비의 용량과 관련: * 시험 장비의 최적 활용: 많은 시험 장비들이 500g의 시료를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시험 장비의 효율적인 사용과 정확한 결과 도출을 위한 것입니다.3. 시약 사용량과 관련: * 시약 낭비 방지: 시험에 필요한 시약의 양은 시료의 무게에 비례합니다. 500g이라는 일정한 시료량을 사용하면 시약 사용량을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4. 시간 절약: * 작업 효율성 증대: 일정한 시료량을 사용하면 시험 준비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