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치헌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헌 전문가입니다.
이치헌 전문가
금풍건설이앤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높은 빌딩은 어떻게 건물을 높이는건가요?
건물이 올라가는것과 연계해서 타워크레인도 같이 올라가면서 건축에 필요한 자재를 공급합니다.콘크리트도 압송관을 통해서 밀어올려 작업을 진행하며 건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공사비는 늘어나게 됩니다.
토목공학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싱크홀은 정확히 어떨때에 생기나요???
지하 터파기 공사중에 지하수와 함께 토립자들이 같이 빠져나와 지반 속에 거대한 공동이 생깁니다.도로 상부의 아스팔트 밑으로 공동이 생기면 아스팔트의 강성이 한계에 달하여 파괴되고 싱크홀로 되는것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9월 6일 작성 됨
Q.
경사로가 계단보다 더 유리한 면이 있을까요?
건물에 경사로 즉 램프를 설치하는 이유는 차량이 원하는 건물의 층까지 이동할수 있게 하기 위함입니다. 아파트형 공장등에서 차량이 자기의 사무실까지 이동할수 있다는것은 물건의 이동에 편의를 줄수가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9월 5일 작성 됨
Q.
묘지에 잔디 대신 쇄석을 깔았다고 하는데 쇄석이 무엇인가요?
쇄석은 암석을 잘게 부숴서 건설재료로 사용하는것입니다. 크라샤에서 mm 별로 깨는데 40mm, 25mm, 10mm 등 사용처의 용도에 맞게 돌을 깨는데 일반적으로는 골재라고도 합니다.묘지에 깔았다고 하니 아마 10mm 골재를 사용한듯 보여지네요.
토목공학
2024년 9월 5일 작성 됨
Q.
한국의 황토는 한국에만 있는건가요?
물론 전세계에 다양한 황토흙이 존재합니다. 각 나라마다 지질학적 특성이 다르기는 하겠지만 우리나라의 황토가 미네랄 함향도 풍부하고 다양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공공입찰과 PQ입찰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공공입찰은 국가나 지자체가 발주하는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한 경쟁 입찰을 의미합니다. 즉,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경쟁 시스템입니다.PQ 입찰은 공공입찰의 한 종류로, 입찰에 참여하기 전에 기업의 자격을 사전 심사하는 절차를 거치는 것을 말합니다. Pre-Qualification의 약자로, 미리 자격을 갖춘 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PQ 입찰제도는 부실공사를 방지하고 대형 프로젝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가면 갈수록 농촌에 인력부족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이제 농업도 기계화가 많이 진행되고 있긴 하지만 수확할때는 기계가 할수 없는 일도 많이 있습니다.외국인 노동자들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그 수를 점진적으로 늘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토목공학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비탈사면의 붕괴원인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사면은 사면을 구성하는 흙의 성질에 따라 안식각이 다릅니다.도로에서 사면을 조성할때 보통 1: 1.5정도의 경사로 사면을 형성하는데 암반이라면 1: 0.7정도로 급하게 세울수가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9월 3일 작성 됨
Q.
해저터널 만들 때는 어떤 공사기법이 들어가나요?
보령 해저터널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NATM공법이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가덕 해저터널의 경우는 육상에서 구조물을 제작하여 바닷속에 가라않여 터널 구조물을 시공하는 침매터널 공법이 적용되었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9월 2일 작성 됨
Q.
저희집 안전진단 안심해도 되나요??
14년된 아파트 치고는 그리 위험한 상황은 아닐것 같네요.자잘한 방수나 외벽의 크랙같은것은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아니며 철근 피복이 적게 나와 일부 콘크리트가 탈락하며 철근이 녹이 슨다는 것은 구조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철근 노출 부위는 시급히 보수 해야겠네요.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