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재 우리 경제의 문제와 원인 해결법은?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 경제의 어려운 부분을 전문가 통계적으로 정리해 보면,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2000년대 초반 5% 내외였던 잠재성장률이 2024~26년에는 2%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생산가능인구 감소, 총요소생산성 둔화, 자본 투자 증가세 둔화 등의 구조적 요인 때문입니다.그리고 자본시장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경제의 활력이 둔화되면서 가계소비 증가세도 둔화되었습니다. 특히 저소득층, 고연령층, 자영업 가구에서 소비성향 감소 폭이 크며, 경제성장률보다 낮은 소비 증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국가통계포털(KKOSIS)을 보면, 실업률은 3.1% 수준이며, 고용률은 62.5%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청년층과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낮아지고 있으며, 노동시장 구조 변화가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조개혁, 생산성 향상, 혁신기업 육성, 저출산·고령화 대응 정책 등이 필요합니다. 특히,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고, 노동시장 비효율성을 개선하며, 기업 투자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38세 남성 자산이 얼마정도 있어야 평균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2023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30대 평균 자산은 약 4억 1,246만 원입니다. 이 중 순자산(부채 제외)은 약 2억 9,938만 원으로, 부동산이 주요 자산 구성 요소입니다. 30대 가구의 평균 부채 총액은 약 1억 1,190만 원으로, 2017년 대비 62.8% 증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