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헤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헤라 전문가입니다.
이헤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체불
2021년 12월 8일 작성 됨
Q.
알바 하던 곳이 폐업을 했는데 월급을 2주 가까이 못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먼저 임금체불과 근로계약서 미작성으로 노동청에 신고하신 뒤, 간이대지급금 신청 위한 임금체불등 사업주 확인서를 발급받으시고근로복지공단 토탈서비스에서 간이대지급금을 청구 신청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1년 12월 8일 작성 됨
Q.
5인이상 법인회사 근로자 연차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1주 15시간 이상 근로하셨다면현재 연차유급 휴가는 1개월 개근 시 1일이 발생합니다.이와 별도로 입사일로부터 1년 간 80%이상 출근하셨다면 2022년 입사일 이후, 15일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주휴수당도 요청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2월 8일 작성 됨
Q.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먼저,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피보험 단위기간이 합산하여 180일 이상인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또한 통근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 그 사유가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여야 합니다.1. 사업장의 이전2. 지역을 달리하는 사업장으로의 전근3. 배우자나 부양하여야 할 친족과의 동거를 위한 거소 이전4. 그 밖에 피할 수 없는 사유로 통근이 곤란한 경우 실업급여 신청시 고용센터에서 위와 같은 사유의 증명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산업재해
2021년 12월 8일 작성 됨
Q.
산재와 관련하여 문의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산재가 발생한 시점이 근무 중이라면 회사를 그만 둔 후에 근무 중에 발생한 산재를 신청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유의하셔야 할 점은 근로기준법 제23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의 요양을 위하여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 동안 또는 산전(産前)ㆍ산후(産後)의 여성이 이 법에 따라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 동안은 해고하지 못한다고 하여 8월 중순으로 상실신고 해 달라는 것(-> 퇴사)이 해고가 아닌점을 사직서를 받는 등 명확히 해 두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만, 상실 등의 신고는 실제 상실 등의 사유가 발생한 날로 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2월 8일 작성 됨
Q.
1년이상 근무자입니다. 연차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상 연차휴가는 5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ㅜㅜ회사에서 호의적으로 주는 것은 상관없지만, 근로기준법상 5인 미만 사업주의 연차휴가 지급 의무는 없습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2월 8일 작성 됨
Q.
실업급여 신청후 일일알바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아르바이트는 할 수 있으나사랑새님 실업급여 담당자분께 아르바이트 한 내용을 말씀드려야 하고말씀드리면 담당자분께서 본인의 경우에 어떻게 되는지 자세하게 말씀해주실 겁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2월 8일 작성 됨
Q.
회사에서일하다가무릎을다쳤는데..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회사에 어떤식으로 처리하셨는지 여쭤보시길 바랍니다.2주 정도 일을 못하셔서 회사에서 그 부분만큼 임금을 제하고 주신다고 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산재신청을 하셨다면 치료기간동안 요양급여(치료비), 휴업급여(생활비) 등 요건에 맞는 급여를 지급받으시게 됩니다. 자세한 산재관련 문의는 공단 해당 지사에 여쭤보시면 자세히 설명해주실겁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알바생이 일하다 다쳤는데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 미작성의 부담은 사용자가 오롯이 지므로 지금이라도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시고 4대보험을 신고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일이 있을 때만 불러 일을 하셨다는 점은 일용직 근로자로 보입니다. )특히 산재보험은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의 의무입니다! 산재보험에 가입하여 재해자(다치신 분)가 산업재해를 신청하게 되면 재해자는 요양급여(치료비), 휴업급여(생활비)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물론, 산재보험 미 가입상태에서 벌어진 재해(업무상 사고)에 관하여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고, (그간 내야 하는 산재보험료+과태료+연체가산금) 재해자가 산업재해를 신청하여 받게 되는 금액의 50% (미납보험료의 5배를 최대로)를 공단이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다만, 향후 분쟁을 생각하면 적법하게 처리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주말알바 주휴수당 및 임금을 얼마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시급제 근로자의 급여는 시급x일한 시간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4주간 평균 1주 15시간이 되지 않으므로 주휴수당 지급 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직장내괴롭힘
2021년 12월 7일 작성 됨
Q.
직장내 갑질과 폭언등은 어디에 신고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질문남겨주신 직장 내 갑질과 폭언등은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괴롭힘으로 접근해볼 수 있습니다.직장 내 괴롭힘이 의심된다면 근로기준법에 따라 누구든지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만약 사용자가 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사업장 주소지의 관할 노동청에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신고시 직접 가능하지만 직장 내 괴롭힘 인정은 민감한 사안으로 일반적으로 노무사를 선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좀더 철저한 준비와 조언이 필요하시다면 가까운 노무법인의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신고한 사람에 대해서 사용자가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