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여진 전문가입니다.
이여진 전문가
하얀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간질한에관한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간질환이란 간염 바이러스 또는 알코올 등에 의해 간세포가 파괴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먼저 간염은 바이러스나 알코올 섭취 때문에 발생할 수 있고 대표적인것이 a형간염, b형간염,c형간염이 있는데요. 이중에서도 특히 만성 b형 간염은 더 주의해야 합니다. 10년이상 지속되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이러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지방간인데요 술을 과하게 먹거나 비만일 경우 생길 수 있습니다. 방치하면 딱딱해지는 간병변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금주와 체중관리를 하셔야 합니다.급성간염일 경우는 위험하므로 입원치료와 함께 약을 복용하시고, 평소 체중관리와 금주는 간질환을 둥화시키거나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놀이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애착인형을 잃어버린 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전문가들이 말하는 애착인형 시기는 돌 전후인데요. 12개월 이전에 인형이나 다른 사물을 통해 애착형성을 하는 것이 아니라 주 양육자와의 애착이 우선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야만 안정적인 애착물건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길게 봤을 때 엄마의 육아가 쉬워지는 길이기도 합니다 자 양육자와의 안정애착이 먼저 선행되지 않으면 아이가 커가면서 분리불안같은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만 3,4세가 되어서도 특정한 물건에 애착을 가지고 집착까지 가는 경우는 주 양육자 보호자로부터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게 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애착물건이랑 함께하는 시간보다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더 재미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면 집착의 행동은 자연스럽게 소거되기 때문에 부모의 관심과 사랑이 애착물건에 대한 집착을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에게 사실 그대로 이야기하며 이젠 엄마가 너와 함께 놀아 줄것이라고 알려주세요. 아이가 힘들어 하겠지만 받아들이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걷는 걸 너무 싫어하는데요.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아이가 걷기 싫어하는 것때문에 고민이신데요.요즘 아이들은 예전보다 키는 크고 체형은 서구적으로 변했지만 체력적으로는 많이 약한것이 현실입니다.무엇보다 마음껏 뛰어놀 공감이나 시간이 부족한것도 큰 영향을 끼쳤을 것입니다 . 또 예전에는 등교 하교를 직접 걸어서 했다면 요즘은 부모님들이 자동차로 데러다 주는 것이 일반적이라 걷는것이 익숙하지 않은데요.않하던 것을 갑자기 하자고 하면 아이들에겐 설득력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체력을 위해 부모님과 할 수 있는 운동을 하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또는 캠핑이나 여행을 가서 자전거를 탄다든지 조금씩 같이 하는 운동을 하다보면 어느순간 걷는 것도 익숙해 질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1일 작성 됨
Q.
7살 아동인데 밖에 나가면 말을 안 듣고 징징댑니다. 그리고 위험한 행동을 반복하고 계속 드러눕거나 떼를 씁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떼쓰는 아이때문에 고민이신데요떼를 쓰는것은 아이가 원하고 요구하는것 양육자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을때 아이가 쓰는 방법입니다. 떼를 써도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다면 아이도 이방법을 쓰지 않을것입니다. 아이가 떼를 쓸때 우선 아이의 마음에 공감해주고, 그렇지만 안됀다고 단호하게. 이야기해주세요. 그리고 떼를쓸땐 아이를 얼른 안고 그 자리를 나오셔야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4월 20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조건을 걸고 행동하도록 하는 교육은 잘못된 걸까요?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에게 보상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의미합니다.그래서 부모에게 보상을 받으면 단순한 선물을 넘어 자신의 잘한 행동과연관된 선물로 생각합니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의 문제행동을 고치거나 칭찬하는 방법으로 보상을 이용합니다. 보상은 부모가 설정해둔 목표를 수행하도록 유인하는 방법일뿐 쿵극적으로는 아이가 스스로 통제할수 있게 만드는것이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