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음악을 전공한 예술인, 미술을 전공한 예술인이 바라보는 예술인의 미래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개인적으로는 저는 미술을 전공했지만, 본인의 재능과 끈기 있는 노력도 중요하고 그에 못지 않게 어느정도 집안에서 지지하고 서포트해주는 환경도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때로는 본인의 실력만으로는 안 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더라구요.그럼에도 요즘에는 좀 더 자신의 재능을 알릴 수 있는 기회, 그리고 그것을 알아봐주고 이끌어줄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기회도 더 많아졌다고 보는데요. 바로 활발한 sns,그리고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와 같은 채널을 통해서 자신의 재능을 알리고 발산할 수 있는 영역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이러한 것도 잘 활용한다면 더 나은 외부 제안도 받아볼 수 있고, 새로운 기회를 만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전세계적으로 자신의 팬층을 쌓을수도 있구요.따라서, 요즘은 어떻게 하기 나름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Q. 오늘 기사를 읽어 보니 탁본에 관련된것인데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탁본은 문화재나 유물 표면에 새겨진 문자나 문양을 종이에 옮겨 기록하는 전통적인 기법으로, 주로 금석문 연구, 보존, 기록, 복제 등에 활용됩니다.말씀하신 선쪼기, 면쪼기, 굵은선새김은 탁본 이전의 원본 제작 기법에 속하고 동시에 탁본과의 표현 차이를 보여주는 요소이기도 합니다.탁본의 경우, 이 선쪼기,면쪼기 등 원본 조형에 사용된 표현을 정확하고 세심하게 옮기는 것이 중요합니다.탁본에도 종이붙이기에 따라 습식, 건식이 있는데, 습식은 물을 묻힌 종이를 붙여서 두드려 나타낸 형태에 먹을 입히는 것이고, 건식은 젖지않은 종이를 얇은 재질로 사용해 숯이나 먹을 문질러 형태를 옮기는 방식입니다.
Q. NFT미술작품이 예술 시장과 소유 개념에 미치는 충격은?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NFT 미술작품 시장은 현재의 예술 시장과 작품 소유 개념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작가나 수집가, 그리고 투자자 모두에게는 새로운 기회이자, 도전 과제가 될 수도 있는데요.디지털 자산으로 NFT 방식이 도입되면서 디지털 기반 예술 작품으로 고유한 소유권을 가지는 자산으로 인정받게 되었고, 이제 물리적인 재료를 통한 작품의 판매가 아니더라도 수익화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온라인에서 누구에게나 판매, 경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접근성도 확대되었습니다.이러한 NFT와 같은 디지털 아트는 앞으로 예술 시장의 성장, 경매의 상당부분을 온라인으로 이동시키고, 새로운 참여자들을 유입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현재도 진행 중인 상황입니다.
Q. 인공지능 기반 미술 창작이 예술계에 미친영향은?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올해 초반에 챗지피티 지브리 스타일 그려줘와 같은 ai 이미지 생성이 큰 인기를 끌었는데요.누구라도 그림을 잘 그리거나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아도 ai 이미지 생성을 통해 비교적 퀄리티 높은 그림을 그릴수있게 되었습니다.하지만 여전히 뭐뭐풍, 특정그림체로 그려달라는 명령어로 생성된 그림의 경우, 저작권, 초상권 등 여러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있습니다.지금 당장은 문제가 되지 않아도 언제 어떻게 법적 분쟁에 휘말릴수 있을지 알수없는 상황인데요.이에 따라 ai 그림, 사진 등을 생성하더라도 저작권, 소유권, 법적/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고 정보를 최대한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다만, 창작이 쉬워진만큼 다양한 시도를 통해 현대 미술에도 기술적 발전이나 새로운 시도들이 이어질 것입니다.물론, 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들도 적지 않기에, 앞으로 구체적인 법이 마련되면 창작자들도 보다 활발하게 작업을 이어갈수있지 않을까 합니다.
Q. 유물 전시와 보존의 균형은 어떻게 맞춰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유물의 손상, 열화를 막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방법은 전시 환경을 엄격히 제어하는 것입니다.온도 및 습도 조절을 24시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조명도 유물의 탈색, 변색, 열화를 방지하기윗내 엄격하게 제어해야합니다.공기의 질도 중요하고 해충이나 미생물 관리도 중요한데, 정기적인 소독과 점검이 필요하죠.이 외에도 진열장에 장식하거나 복제본을 활용하기도 하고, 주기적으로 상태 점검하고 보존처리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Q. 요즘 현대에는 건물의 미술적인 양식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요즘 현대에도 미술적이고 독창적인 건물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다만, 르네상스나 고딕처럼 한눈에 드러나는 장식적 스타일과는 조금 다르며, 현재는 기술적 통합, 지속 가능성, 자연과의 조화 등 시대적 요구에 따른 새로운 미학을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친환경적인 자재를 이용하거나 또 스마트한 기술을 도입하여 편리하고 보안이 강화된 건물, 그리고 심플한 구조와 미학을 추구하기도 합니다.두바이의 그린 스파인같은 프로젝트는 초대형 녹지를 조성해 도시와 자연이 잘 어울리도록 한 케이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