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
정준원 전문가
큰길엔지니어링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4년 7월 30일 작성 됨
Q.
신축 건물 필로티는 구조적으로 약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주창장확보를 위해 만들어진 구조며, 하중을 지지하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화재나 지진시 취약해서 문제가 발생이 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30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건물을 지을때 내진설계는 의무 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내진설계 의무규정은 1988년도에 도입되어, 내진설계 기준을 개정해 2층이상 200㎡ 이상인 건축물에 내진설계를 의무화 했습니다.일본을 예로 들면 일본은 지진이 많기 때문에, 주택등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확인 신청후 건축기준법에서 정해진 내진설계 기준에 부학하여야 인전된것만 건설이 가능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30일 작성 됨
Q.
높은 건축물을 설계하거나 공사를 할때에는 어느정도 이상의 건설사들이 건축을 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높은건축물등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됩니다.때문에 우리가아는 메이져 건설사들이 참여할 수 밖에 없습니다.작은 건설사들이 건설하기에는 비용적인 부담이 많이 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비오는날 도로차선이 잘보이게 하려면 공사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차선도색을 할때 사용하는 도료가 처음에는 빛을 잘 반사하다가 나중에는 오래되어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대부분 저가 도료 사용으로 인한 문제 입니다.이를 방지하기위해 최근에 물방을 안전차선이라는 것을 시범적으로 설치 하기도 했습니다.기능성 도료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실시공 업체가 없어져야 할 것입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요즘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건물을 건축하는 기술이 개발되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국내에도 시공사례가 있다고 알고있는데 언제 상용화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국내에는 아직 관련 인증이나 안전기준 , 규정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건축법상 사람이 들어가 주거하는 건축물은 3D 프린팅으로 지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기술적인 한계도 있어서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3d프린터를 이용해서 어떻게 그 큰 건축물들을 만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기술력의 발전으로 가능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더욱더 발전하게 될 것입니다.현재까지는 크기제한이 있습니다. 지금의 기술로는 거대한 건물을 만들기에는 한계가 따르고, 큰 규모로 만들기 위해서는 보다 크고 강력한 3D 프린터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일반 아파트를 유지보수 하지 않으면 수명은 어느정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아파트를 유지보수하지 않는다면, 아파트의 설계 및 내구성에 따라 수명은 다를 것 입니다.예를들어 누수등 치명적인 문제 발생시 수명은 더 짧아질 것이고요.유지보수없이 잘 지어졌다면 유지보수 없이도 수명은 길 것이고요.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3D작업으로 집을 지을 때 인력이 정말 필요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3D로 집을 지을 때 우선 설계부터 시작해서 지을 때도 이상 없이 지어지고 있는지 확인 등 사람이 없이 작업을 할 수는 없습니다.나중에 기술이 더 발전된다면 몰라도 현재에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9일 작성 됨
Q.
댐의 수위 조절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수문을설치하여 홍수를 조절하게 됩니다.일반적으로 방류량조절을 통하여 수위를 조절하고 있습니다.방문하셨을때는 방류를 한상태일것 같습니다.
토목공학
2024년 7월 26일 작성 됨
Q.
대전의 유등교 상판이 내려 앉았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대전의 유등교의 문제는 물 밖의 상판이나 교각이 아니고, 하천 아래 교각 기둥부분이 세굴로 인한 것 입니다.하천 교량은 수중조사가 선택사항이기 때문입니다. 수중조사를 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