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정철 전문가
고려대학교 화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8월 22일 작성 됨
Q.
무수히 생성되는 정자가 난자와 수정하면 생명체가 탄생하는데, 그럼 정자에 따라서 외모나 신체 능력 등이 달라질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좀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정자가 아니라 정자가 보유하고 있는 유전자 정보에 의해 외모등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화학
2023년 8월 22일 작성 됨
Q.
김이 다 빠진 탄산음료를 과학적으로 다시 되살릴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탄산 음료는 탄산을 강제로 주입한 것입니다. 따라서 날라간 탄산을 다시 복원할순 없고 다시 탄산을 주입시킴으로써 탄산음료를 재현할 순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8월 22일 작성 됨
Q.
태양이 발산하는 온도는 과거에서부터 일정한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도 수명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현재 태양은 생겨난 지 오랜된 행성이기도 합니다. 아마 처음 생성되어서 가장 전성기 였을때보단 지금은 그 온도가 떨어졌을것 같습니다. 물론 인류가 느낄수 있는 기간은 아닌듯 합니다. 언젠가는 태양도 소멸하겠지만 이 역시 그 날이 왔을때 인류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8월 22일 작성 됨
Q.
달의 공전과 자전 속도가 동일해진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은 현재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동일합니다 그로 인해 우리는 달의 한쪽면만을 볼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화학
2023년 8월 22일 작성 됨
Q.
금속이나 액체 등 특정 화학물질의 끓는점이 있는데..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화학물질 또는 금속의 물성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좀더 세부적으로 bp, MP등으로 표시를 하기도 합니다. 녹기 시작하는 온도를 MP라 하고 끓기 시작하는 온도를 bp라 합니다. 즉 녹기 시작해서 다 녹은 후 부글부글 끓기 시작하는 점을 끓는점이라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8월 22일 작성 됨
Q.
매미도 다른 곤충들처럼 비행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매미가 주로 나무에 붙어 있어서 잘 못보실수도 있겠지만 사람이 다가가거나 이유가 생기면 비행을 합니다.
토목공학
2023년 8월 22일 작성 됨
Q.
아치형 건물은 압축력에 강하고 인장력에 약하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건물의 구조를 보시면 바로 이해 하실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아치형 구조는 좌우가 고정되면 위에서 누르는 힘에 매우 잘 버티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같은 구조에서 좌우를 각각 조금씩만 이동시켜도 아치형 구조가 무너지게 되어 붕괴되는 것입니다.
토목공학
2023년 8월 22일 작성 됨
Q.
아파트 층간소음을 위해 바닥슬라브를 두껍게하면 효과가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도움이나 감소효과는 있을듯 합니다. 하지만 100%는 완벽하진 않을듯 합니다. 건축 방식이나 자재등 좀더 감소될수 있는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하고 층간소음에 대해 서로 조심하고 배려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8월 21일 작성 됨
Q.
16세기-19세기 소빙기가 발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연구 결과에 의한 가설은 혜성 출현의 증가와 이에따른 다량의 유성의 출현, 객성 및 소혹성등의 태양계 진입등 특수한 조건들이 소빙기의 근본원인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3년 8월 21일 작성 됨
Q.
선풍기의 날개와 배의 프로펠러의 형태는 같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프로펠러의 목적은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바람이 앞으로 나오냐 뒤로 나오냐는 프로펠러의 방향에 따라 변경될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목적은 유사하다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351
352
353
354
3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