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정철 전문가
고려대학교 화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3년 7월 25일 작성 됨
Q.
골프공 표면은 왜 우둘투둘 한거에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골프공은 빠른 속도로 멀리 날아가야 하기 때문에 공기저항이나 방향성 향상을 위해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화학
2023년 7월 25일 작성 됨
Q.
여러 사업장에서 영업중인데 각 업소마다 전기세차이가 큽니다.이유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를 많이 사용하시기 때문에 누진세등이 붙어 많이 나오는 것입니다. 상시 전기가 소모되는 제품 또는 순간 전기가 높은 가전등이 많을 수록 많은 전기가 소모됩니다 .누진세를 잘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생물·생명
2023년 7월 25일 작성 됨
Q.
새가 투명 방음벽에 부딪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새의 시각으로 투명한 막을 구분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인위적인 물체이기 때문에 인지를 못해서 그럴수도 있을듯 합니다. 그림을 그려놔도 그 부분만 피해서 가다가 부딛히기도 합니다.
화학
2023년 7월 25일 작성 됨
Q.
추운 지역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많은 이유?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도 추울때 매우 건조하게 됩니다. 모든 식물들 역시 겨울을 나기 위해 수분을 비우는 식물도 있습니다. 단풍등이 지는 이유도 겨울을 대비하기 위해 수분을 비우는 과정입니다. 이처럼 추운지방은 건조하기 때문에 수분 증발이 더 많아 지는 것입니다.
기계공학
2023년 7월 25일 작성 됨
Q.
화학 용어인 스크러버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선박에서 사용되는 스크러버란 액체를 이용해서 가스속에 부유하는 고체 또는 액체를 포집하는 장치를 뜻합니다. 쉽게 이야기 해서 선박의 엔진등에서 배출돠는 환산화물을 정화하는 장치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7월 25일 작성 됨
Q.
사람이 살아가면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물을 섭취하고 위를 통해 장으로 간 음식물이 소화, 흡수가 되면서 여기서 가스가 생성됩니다. 이렇게 생긴 가스가 생리현상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7월 25일 작성 됨
Q.
빛의 반사와 굴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반사는 빛이 물체를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되어 나오는것을 뜻합니다. 굴절은 빛이 물체를 투과하면서 물체나 구조에 의해 굴절되어 들어간 방향과 나오는 방향이 다른것을 뜻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소나기는 어떻게 만들어져서 내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북태평양의 공기가 우리나라 쪽으로 이동해 오는데 동쪽에 있는 등줄기 산맥인 태백산맥이 있어서 남서쪽에서 오는 이 공기가 이 태백산맥의 산줄기 사이에서 점점 상승하게 되고, 태백산맥 서쪽 사면에서 뭉게구름이 빈번히 발달하게 됩니다. 이 뭉게구름이 두꺼워져 소나기를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기단과 우리나라 지형이 만나 생기는 현상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화학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나무가 이산화 탄소를 흡수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가 흡수하는 탄소량은 나무의 나이, 나무의 종류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오래된 나무일수록 탄소를 많이 흡수하고 백합나무등이 소나무보다 다 많이 흡수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7월 24일 작성 됨
Q.
태양계 행성중 금성만 유일하게 자전을 시계방향으로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가설이 있지만 아직 입증되고나 정설이 된것은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진 이유가 행성등의 충돌이라는 설이 있듯이 금성도 계속해서 부딛혀서 결국 자전축이 뒤집어 짐으로써 시계방향이 되었다는 설도 있고 자전속도와 대기 회전 속도의 차이로 인해 변했다라는 설도 있습니다. 아직은 확실하게 정설이된것은 없습니다.
376
377
378
379
3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