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전문가입니다.
정철 전문가
고려대학교 화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토목공학
2023년 5월 27일 작성 됨
Q.
높은 건물을 왜 흔들리게 짓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내진 설계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무를 부러뜨릴정도의 바람도 갈대를 부러뜨리진 못합니다. 마찬가지로 내진설계의 한 방법으로 흔들림에 버티는게 아니라 같이 흔들리게 하여 지진에 대한 내성을 높인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26일 작성 됨
Q.
'코알라'의 식량은 평생 한가지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코알라는 유칼립투스 입만 먹고 삽니다. 유칼립투스입에는 독이 있어 일반적인 동물들은 먹지 않습니다. 아마도 높은 나무에서 천적을 피하고 먹이 경쟁에도 유리했기 때문에 이 잎을 먹이로 삼지 않았나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26일 작성 됨
Q.
달에 소행성이나 혜성이 충돌하여 공전 궤도를 이탈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달에도 중력이 있습니다. 지구에도 중력이 있고요지구와 달이 지금의 거리를 유지하는것은 두 행성간의 중력의 영향입니다. 만약 궤도를 이탈할 정도의 규모로 소행성등과 충돌하게 된다면 균형을 유지하는 행성간의 힘이 약해지거나 강해지게 될것이고 이렇게 된다면 점점 지구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 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리
2023년 5월 26일 작성 됨
Q.
과학적인 관점에서 '인터벌 운동'이 왜 효과적인 것이죠?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무리한 운동을 장시간 하게 되면 몸에 무리가 올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의 근육, 몸상태는 적응을 잘 하게 됩니다. 같은 강도 보단 적응을 못하도록 인터벌을 두고 하게 되면 그만큼 근육의 긴장도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되고 이러한 운동이 근육을 더 잘 자극하게 되어 체지방이나 근육 강화에 좀더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26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에 분리된 로켓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분리된 로켓은 지구로 떨어져 재활용등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분리된 로켓의 추락 위치까지 계산해야 하는 로켓 발사는 굉장히 고난도 수학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물리
2023년 5월 26일 작성 됨
Q.
가속도와 무게와의 상관관계는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던지는 힘이나 중력 가속도에 대한 부분인지 애매하여 일반적인 부분을 말씀드리자면 F=m*a 입니다. 힘은 무게와 가속도에 비례합니다. 중력가속도는무게가 무거울수록 가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 가속도가 중력가속도와 같아 지게 되면 모든 물체의 가속도는 같아지게 됩니다. 이때가 무중력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물리
2023년 5월 25일 작성 됨
Q.
겨울철에 주로 사용하는 휴대용 핫팩이 있습니다. 핫팩이 뜨거워지는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핫팩의 발열의 원리는 일반적으로 핫팩안에 들어 있는 물질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서 산화 반응이 일어나 이 반응을 통한 발열로 인해 따뜻해 지는 것입니다.
화학
2023년 5월 25일 작성 됨
Q.
비알콜성 지방간은 무엇이며 어떤 원인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주된 원인은 알콜과 비만입니다. 그외에 당뇨병 약, 고지혈증약, 간기능 개선제 등도 지방간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결국 건강관리를 잘 해야 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5월 24일 작성 됨
Q.
베텔게우스가 폭발하면 지구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폭발하게 된다면 지구 생명체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은 있습니다. 에너지 방출 방향이 태양쪽으로 향하게 되면 감마선을 지구로 뿌릴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초신성의 수명은 아직 10만년 남았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화학
2023년 5월 24일 작성 됨
Q.
왜 우리나라는 석유가 나오지를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선 석유가 발견되지 않는다??아닙니다. 대한민국에서도 석유가 발견 되었으며 95번째 산유국으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석유는 매장량에 한계가 있지만 정제법등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사용 한계 년도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언젠가는 고갈되겠죠?그전에 다른 기술이 개발되고 발전하여 신규 에너지가 생겨나지 않을까 합니다.
411
412
413
414
415
카카오톡
전화 상담